[사설] 임기 후반 친인척·측근 단속 철저하게

입력 2011-05-30 17:33

‘권력은 측근이 원수이고, 재벌은 핏줄이 원수’라는 말이 얼마 전 정치권에 회자됐다. 이 말속에는 많은 의미가 함축돼 있다. 전두환 대통령 이후 최근 노무현 대통령까지 임기 말에 터지는 대형 비리 상당 부분은 대통령과 특수 관계에 있는 친인척이나 측근들이 저질렀다. 부산저축은행 사태와 관련돼 30일 수감된 은진수 전 감사위원도 이명박 대통령 측근으로 분류되는 사람이다.

청와대가 이 대통령 내외의 친인척이나 측근들 비리가 또 터져나올까 긴장하고 있다고 한다. 이 대통령의 후보 시절 대선 캠프에서 핵심 역할을 했던 은씨가 국민적 지탄을 받는 대형 비리에 연루됐으니 당연하다. 정권마다 통상 집권 4년차쯤 되면 기강이 해이해져 친인척 및 측근들이 이런 저런 이권에 개입해 문제를 일으켰던 것을 볼 수 있다.

대통령 친인척 관리를 맡고 있는 청와대 민정비서관실과 공직기강을 담당하는 총리실 관련 부서들은 은씨 사건을 계기로 한층 더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민주당은 “지금까지 드러난 것은 빙산의 일각”이라며 “청와대 핵심 실세, 장·차관, 공기업 사장, 대통령 측근 실세들이 이 사건에 깊숙이 개입됐다는 정황이 있는 만큼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치공세적 측면이 많지만 귀담아 들어야 할 대목도 있다.

등산을 할 때 올라가는 길보다 하산 길을 더 조심해야 한다. 역대 정권들을 보면 집권 3∼4년차가 되어 집중도가 떨어질 때 권력형 비리가 발생했다. 이번 사건이 은씨 한 명 사법 처리로 끝나면 다행이겠지만 고구마줄기처럼 줄줄이 달려 나와 현 정권의 최대 권력형 게이트로 번질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 없다.

역대 대통령들이 임기 중 쌓아 놓은 업적들이임기 말에 자녀·형제·최측근들의 비리로 퇴색되는 것을 보아 왔다. 이 대통령도 집권 당시, 초심으로 돌아가 친인척을 비롯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대통령 선거 캠프, 안국포럼, 영포라인 등에 속한 측근들이 권력형 비리에 개입하지 않도록 다잡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