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저축은행 로비의혹]靑에도 로비 의혹…'저축銀 게이트' 초특급태풍 조짐
입력 2011-05-30 01:03
검찰이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은진수 전 감사원 감사위원을 전격 소환된 데다 청와대 로비 시도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부산저축은행 사태가 현 정권 게이트로 번질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검찰은 최근 부산저축은행의 금융 브로커 윤여성(56·구속)씨를 검거한 이후 저축은행 비리 수사의 무게중심을 정·관계 커넥션 규명으로 옮겼다. 김양(58·구속기소) 부산저축은행 부회장의 측근으로 알려진 윤씨는 저축은행 의사결정 과정 전면에 나서지 않고, 주로 막후에서 움직였다. 부산저축은행이 지난해 부실 문제가 불거진 이후 퇴출 저지를 위해 전방위로 뛸 때 청와대 고위인사와 친분이 있는 박모 변호사를 찾아가 해결 방안 등을 논의한 것도 윤씨였다.
검찰은 박 변호사가 부산저축은행 측의 요청에 따라 청와대 등에 수차례 탄원서와 진정서를 낸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 간부 출신인 박 변호사는 지난해 7월부터 6개월 정도 월 200만원씩 받고 고문으로 활동하며 관련기관에 탄원서를 내고, 대전저축은행 매각 관련 자문 등의 업무를 봤다. 박 변호사는 본보와 만나 감사원, 금융감독원에 탄원서를 보낸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청와대 관련 부분은 부인했었다. 검찰은 부산저축은행이 박 변호사와 고문 계약을 맺은 시점이 경영난이 갈수록 심각해지던 상황이라는 점에 무게를 두고 박 변호사가 단순히 탄원서를 낸 것 외에 다른 구명 활동을 했는지 여부도 살펴볼 계획이다.
검찰은 브로커 윤씨가 이외에도 여러 명의 정·관계 인사들을 접촉한 정황을 잡고 수사를 집중하고 있다. 명문대 교수 출신인 박모씨가 부산저축은행 구명 운동에 적극 나섰다는 의혹도 있다. 박씨는 한 교회 장로로, 이 대통령의 당선 이전 교회 소그룹 활동을 함께하기도 했다. 그러나 박씨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나는 부산저축은행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부산저축은행 2대 주주인 박형선 해동건설 회장이 세무조사 무마 로비에 개입했다는 단서도 잡았다. 박씨는 부산저축은행이 경기도 용인시에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에 토지소유권 분쟁이 생겨 2008년 세무조사를 받게 되자 김양 부회장의 부탁을 받고 세금을 깎기 위해 조사를 담당한 서광주세무서 관계자들에게 로비를 시도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검찰은 박씨가 부산저축은행의 SPC 사업에 필요한 각종 인허가 과정에서 로비를 벌였는지도 추적하고 있다. 특히 박씨는 광주 K고 출신으로 호남 지역에 인맥이 두텁고, 참여정부 때의 유력 인사들과 교류가 있던 인물이다. 부산저축은행이 ‘전국구’ 규모로 발돋움하고, 해동건설의 정부 발주 사업 수주 건수가 크게 늘어난 것도 지난 정부 시절이었다. 박씨는 각종 로비 개입 의혹을 부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호일 노석조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