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권력형 게이트로 커지는 저축은행 사태

입력 2011-05-30 01:53
이명박 대통령 측근인 은진수 전 감사원 감사위원이 29일 피의자 신분으로 대검 중앙수사부에 소환돼 조사를 받다 결국 긴급 체포됐다. 은 전 위원은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 성실히 조사에 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범법사실을 숨기지 말고 진실을 밝히는 것이 공복이었던 사람의 염치임을 알아야 한다.

검찰은 은 전 위원을 상대로 부산저축은행으로부터 거액의 금품을 수수한 사실을 확인한 뒤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한다는 방침이다. 검찰은 은 전 위원이 김양(구속기소) 부산저축은행 부회장 측근인 브로커 윤여성(구속)씨로부터 금품을 받았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7조원대로 알려진 부산저축은행그룹 금융비리가 권력형 게이트나 다름없는 사건으로 비화하고 있다. 저축은행 감사·검사·조사 권한을 갖고 있는 감사원, 금융감독원, 국세청을 비롯해 전·현 정부 인사 등이 관련돼 있다는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김 부회장이 부산저축은행 2대 주주인 박형선 해동건설 회장을 통해 서광주세무서의 부산저축은행 세무조사와 관련해 금품 로비한 정황, 박 회장의 참여정부 인사들 로비의혹, 청와대 핵심 관계자와 친분이 있는 박모 변호사와 브로커 윤씨의 석연치 않은 접촉 등 수사가 진행될수록 양파 껍질 벗겨지듯 관련 의혹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은 전 위원 말고 또 다른 감사원 감사위원이 부산저축은행 로비에 연루됐다는 의혹은 큰 충격이 아닐 수 없다. 감사원은 감사원법에 따라 감사원장을 포함한 7명의 감사위원으로 구성되고, 국가·지방자치단체·한국은행을 비롯한 관련 부처·기관·단체의 회계검사와 직무감찰을 하도록 돼 있다. 따라서 감사위원은 어느 누구보다 청렴성, 도덕성, 독립성을 유지해야 할 책무가 있다. 그런데도 감사위원 2명이 비리 의혹에 휘말려 있다는 것은 현 감사원이 존재할 이유가 있는지 의문마저 들게 한다.

검찰은 복마전(伏魔殿)을 방불케 하는 부산저축은행 금융비리의 몸통과 깃털까지 모두 털어낸다는 각오로 수사에 임해야 한다. 대검 중수부의 명운을 걸고 한 점 의혹 없이 전·현 정부 인사들의 비리를 단죄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