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진보, 종북 고수한 민노당과 연계 끊어야
입력 2011-05-29 17:59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시민단체들의 진보정당 통합논의가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진보신당이 북한의 3대 세습을 반대한다는 표현을 정책합의문에 넣을 것을 주장한 데 반해 민노당은 북한이 결정할 문제라는 입장을 고수했기 때문이다. 양측은 앞으로도 통합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밝혔지만 결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같은 결과는 새삼스럽지 않다. 당초 2008년 진보신당이 민노당을 뛰쳐나와 창당한 것도 민노당의 종북주의 때문이었거니와 저간의 행태에 비추어 민노당이 당의 ‘존재이유’랄 수 있는 종북주의를 버릴 수 없었을 것임은 자명하다. 실제로 올해 창당 11년을 맞은 민노당의 행적을 돌이켜보면 2006년의 일심회 간첩단 사건을 비롯해 각종 공안사건에 당원들이 연루된 것을 차치하더라도 남한 정부에 대해서는 거의 맹목적으로 혹독한 비난·비판을 가해온 반면 북한에 대해서는 감싸기로 일관해왔다.
3대 세습만 해도 이정희 민노당 대표는 지난해 정치권이든 언론이든 아예 함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민노당은 천안함 피격 때는 북한이 저질렀다는 증거가 없다는 주장을 끝까지 굽히지 않더니 증거가 명백한 북한의 연평도 포격 때는 ‘남북관계를 악화시킨 결과를 똑똑히 보라’며 오히려 남측 정부를 더 비난했다. 대한민국 정당으로서 정체성과 정당성을 의심받기에 충분하다.
그럼에도 민노당이 명맥을 유지하면서 어느 정도나마 세를 불려온 것은 ‘진보’의 탈을 써왔기 때문이다. 사회적 약자와 소수의 편에 서서 보수의 한계를 극복하고 진보적 가치를 추구하는 것을 본령으로 하는 진보세력은 어느 사회건 꼭 있어야 할 요소다. 우리 국민 중에서도 스스로 이념성향을 진보로 평가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바로 그들이 ‘진보정당’이라는 민노당을 지지해온 것이다.
하지만 이번에 재확인된 데서 보듯 민노당은 진보의 껍데기를 쓴 종북 정당에 불과하다. 종북은 진보가 아니다. 오히려 퇴행이다. 국민은 이를 인식해야 하고, 진보세력은 민노당과의 연계를 끊어야 한다. 그래야 진정한 진보정당의 약진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