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수사] MB “성역없이 수사하라” 참여정부도 사정권… 은진수 소환 임박

입력 2011-05-27 18:22


이명박 정부 출범의 일등 공신인 은진수(50) 전 감사원 감사위원에 대한 사법처리가 임박하면서 검찰의 저축은행 비리 수사가 어디까지 진행될지 주목된다.

은 전 위원은 2007년 대통령 선거 당시 이명박 후보 캠프 법률지원단장을 지냈다. 이 대통령의 후보 생명을 좌우할 뻔했던 ‘BBK 사건’에서 이 대통령의 변호인으로도 활동했다. 지난 대선 승리의 결정적 역할을 했던 은 전 위원이 금품 수수로 낙마한다면 그동안 자잘한 비리 잡음 정도만 있었던 MB 캠프의 둑 한쪽이 무너지기 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은 전 위원은 2005년부터 2년 동안 부산저축은행과 고문변호사 계약을 맺고 법률 자문을 해준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07년 울산지검이 진행했던 부산저축은행 계열사의 골프장 관련 수사 때는 김양 부산저축은행그룹 부회장의 변호를 맡기도 했다. 검찰은 부산저축은행과 상당 기간 인연을 맺어온 은 전 위원이 부산저축은행을 위해 여러 가지 역할을 해 주고 그 대가를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이 대통령의 최측근이었던 은 전 위원까지 사법처리하기로 방침을 세운 마당에 여야, 전·현 정권 등 좌고우면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검찰의 수사 칼날이 어디까지 향할지에 정치권은 물론 감사원, 금융감독원 등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 정권과 관련해서는 은 전 위원에게 금품을 전달한 윤여성(56·구속)씨가 은 전 위원 말고 다른 MB쪽 인사 누구를 검찰 조사과정에서 언급했는지가 관심이다. 수조원대 부실 대출을 벌인 부산저축은행이 영업정지 등 위기가 닥쳐오자 현 정부 여러 라인을 통해 구명 노력을 한 것으로 알려져 은 전 위원 이상의 거물이 검찰 수사망에 걸려들 가능성도 있다.

노무현 정부와 관련해서는 부산저축은행 2대 주주인 박형선(59) 해동건설 회장의 입에 관심이 쏠린다.

박 회장은 참여정부 당시 유력인사들과 교류가 활발했다는 점에서 이번 수사가 지난 정부 인사들로 확대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키 맨’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 대통령은 그동안 수차례 저축은행 비리에 대한 성역 없는 수사를 주문했다. 때문에 검찰의 수사 동력은 충분히 확보된 셈이다. 모처럼 대검 중부수의 존재 의의를 보여주는 수사로 국민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라도 지금보다 더 강도 높은 수사를 벌여야 한다는 검찰 내부 분위기도 강하다.

안의근 기자 pr4p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