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訪中 이후] 한·미 “金발언 새로울 것 없다… 남북관계 개선 먼저”

입력 2011-05-27 18:19

정부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북·중 정상회담에서 6자회담 조기 재개를 주장한 것과 관련해 종전과 달라진 게 없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다만 북·중 정상회담 내용이 정확히 전달되지 않은 만큼 북한의 움직임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27일 정례 브리핑에서 “6자회담 재개를 위해서는 북한이 비핵화의 진정성을 보여야 하고 남북관계 진전을 위해 북한이 책임 있는 태도를 보이는 게 중요하다”며 “6자회담 재개에 대한 우리 정부의 생각은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도 “북·중 정상회담 결과에 대한 중국 측의 설명 내용에는 주목할 만한 게 하나도 없다. 특별히 평가할 필요성을 못 느낀다”고 말했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미클럽 초청 간담회에서 “김 위원장이 6자회담 재개 등을 말했다고 하는데, 늘 해오던 말이기 때문에 특별히 유의할 사항은 아닌 것 같다”면서 “정부는 비핵화 회담을 제안해놨기 때문에 북측이 응할지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통일부 천해성 대변인도 “북한은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태도 변화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진정성 있는 조치로 북한 우라늄 농축프로그램(UEP) 중단,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중지,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 복귀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이번 북·중 정상회담 내용에는 이런 구체적인 조치가 하나도 없다는 설명이다. 또한 지난해 8월 방중 때도 “조속한 시일 내에 6자회담을 재개하기를 희망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어 전혀 새로울 게 없다는 것이다.

미국 정부의 판단도 우리 정부와 크게 다르지 않다. 마크 토너 국무부 부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은 남북관계 개선에 필요한 조치들을 우선적으로 취해야 한다”며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선의에 입각한 노력을 해야 하며, 도발적 행위들도 중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런 조치가 있은 뒤에 그 진전의 결과로서 다른 것들을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비동맹회의 외무장관 회의에 참석한 박의춘 북한 외무상은 “유관 측들과 협력해 대화형식에 구애됨 없이 6자회담 조기 재개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조선중앙방송이 보도했다. 중앙방송에 따르면 박 외무상은 “어떻게 하든 조선반도에서 긴장을 완화하고 북남관계를 개선하려는 일념으로부터 남조선 당국에 여러 갈래의 북남대화를 전제조건 없이 열 것을 제안했다”고 덧붙였다.

이도경 기자,워싱턴=김명호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