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울산대 반구대 암각화 보존 대책 갈등

입력 2011-05-26 22:11

울산시와 울산대학교가 물에 잠겨 훼손이 가속화하고 있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두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울산대가 최근 설립한 반구대암각화보존연구소가 울산시 입장과 배치되는 주장을 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연구소는 평소 반구대 암각화 보존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울산대 이사장인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의 지시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26일 울산시와 울산대 등에 따르면 연구소는 사연댐 수위를 먼저 낮춰야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연구소 자문위원들은 최근 반구대 암각화를 직접 둘러본 뒤 “훼손 진행 속도를 감안하면 2015년쯤이면 암각화가 사라질 수도 있기 때문에 당장이라도 물을 빼고 보강공사를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소는 심각한 박리현상을 해결한 이후에 대체식수 확보 문제를 다뤄도 무방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반면 울산시는 연구소의 활동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오동호 행정부시장은 “지역에 있는 한 기관에서 과거의 훼손 상황을 또다시 문제 삼고, 독자적으로 보존대책을 강구하겠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와 울산시는 올해 3월 사연댐 수위를 낮추는 동시에 청도 운문댐 물 7만t을 끌어오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 방안을 마련했지만 2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