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권·대권 분리, 대선 1년前으로 단축놓고 팽팽… 한나라당 내 ‘全大 룰’ 싸고 힘겨루기 가열
입력 2011-05-26 21:40
‘당권·대권 분리’ 등 전당대회 룰을 둘러싼 한나라당 내 힘겨루기가 계속되고 있다. 당 비상대책위원회는 26일 여의도 당사에서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토론을 벌였으나 친이명박계와 친박근혜계 간 입장차만 확인하고 결론을 내지 못했다.
친박계는 대선 1년6개월 전부터 당권·대권을 분리토록 한 현행 규정을 유지하자고 주장했다. 반면 친이계, 특히 김문수 경기지사나 정몽준 전 대표와 가까운 비대위원들은 이를 고쳐 대권 후보가 전대에 나올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자고 맞섰다. 이들은 애초에 제시한 당권·대권 통합에 대한 반대 의견이 우세하자 당권·대권을 분리하되 기간을 1년6개월에서 1년으로 줄이자는 절충안을 내놓았다고 복수의 참석자들이 전했다.
당 대표와 최고위원 선출과 관련해서도 친박계는 현행 유지를 주장했다. 반면 친이계와 소장파 일부 위원들은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따로 선출하거나 당 대표에게 최고위원 지명권을 주는 등 대표 권한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폈다. 회의에선 책임당원들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 결과가 보고 됐다. 당권·대권 분리에 대해 ‘현행 유지’가 58%로 ‘개정해야 한다’의 29%보다 높게 나왔다.
결국 비대위는 두 가지 핵심 사항을 27일 회의에서 계속 논의키로 하고 상대적으로 이견이 적은 선거인단 확대 문제만 마무리지었다. 배은희 대변인은 “선거인단을 21만명까지 늘리되 선거인단 속에 젊은층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20, 30대 선거인단 1만명을 별도 구성키로 했다”고 밝혔다.
회의에선 김 지사의 측근인 차명진 의원이 “전대 룰이 박근혜 전 대표 뜻대로 (됐다)는 식으로 보도가 되고 있어 이 자리에 나와야 되나 고민했다”며 비대위가 박 전 대표의 입장대로 전대 룰을 확정하려는 것 아니냐고 비대위원장에게 항의하기도 했다.
장외에서는 비대위의 역할을 놓고 정의화 비대위원장과 황우여 대표 권한대행 간 미묘한 신경전이 펼쳐졌다. 정 비대위원장은 회의에서 “섣부른 정책 남발이나 표만 의식한 정책노선 급선회로 집권 여당이 앞장서서 혼선을 부추기고 있다는 비판도 새겨들어야 한다”며 황 대표 권한대행을 겨냥했다. 이어 그는 “앞으로 비대위가 당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정책과 노선을 둘러싼 논쟁을 하나로 녹여내는 용광로 구실을 충실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황 대표 권한대행은 기자들과 만나 “정 위원장은 거대한 것을 만들어내려는 것 같은데 비대위는 전당대회 준비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나래 유성열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