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기지 고엽제 파문] 캠프 캐럴 韓美 공동조사단 합의

입력 2011-05-26 21:53


환경부와 주한미군은 26일 한·미 주둔군지위협정(SOFA) 환경분과 위원회를 열고 고엽제 매몰 의혹이 일고 있는 경북 왜관 캠프 캐럴 미군기지에 대한 공동조사단을 꾸리기로 합의했다. 한국 측은 정부·민간 전문가, 지역·주민 대표 등 10명 안팎으로, 미군 측은 미국 본토에서 파견된 전문가와 주한 미군 관계자로 구성키로 했다. 양측은 27일 기지 외곽의 10여곳에서 지하수 시료를 채취할 예정이다. 기지 내부에 대한 시추·발굴 조사는 미군 측 전문가가 미국에서 도착하는 대로 진행될 계획이다.

조사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빨라야 한 달 정도가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논란이 되는 다이옥신 검출 시험이 복잡하고 까다롭기 때문이다.

주한미군은 미국 현지로 장교들을 파견해 고엽제를 묻었다고 증언한 전 미군 병사를 조사했다. 이를 바탕으로 환경부와 주한미군은 미국에서 관련 전문가들이 도착하면 지하 투과 레이더 등을 이용해 드럼통이 묻힌 정확한 위치를 찾아낼 계획이다. 위치가 파악되면 토양 시료를 채취하고 매몰지 내부에 고여 있는 액체 성분을 수거한다. 드럼통 위치가 발견되면 시추 장비를 이용해 깊이 별로 토양 시료를 채취한다. 토양 시료는 한국환경공단으로 보내고, 지하수 시료는 국립환경과학원으로 보내 각각 다이옥신 검출 여부를 확인한다.

한편 정부는 SOFA의 개정 필요성 검토에 들어갔다. 외교통상부 조병제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고엽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현행 SOFA에 미비하거나 부족한 점이 있을 경우 보완하거나 고칠 필요성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선정수 김남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