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기지 고엽제 파문] 국방부, 오염항목에서 ‘다이옥신’ 제외

입력 2011-05-26 00:42

고엽제 매립 의혹이 제기된 경북 칠곡군 왜관읍 미군부대 캠프 캐럴에서 발암물질이 기준치의 30배 넘게 검출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또 국방부는 반환된 미군기지에 대한 토양오염 조사 항목에 ‘다이옥신’을 제외한 것으로 드러났다.

25일 강원대 등에 따르면 미군은 캠프 캐럴에서 왜 악취가 나는지 분석해 달라고 2003년 삼성물산에 의뢰했고, 강원대와 공주대 연구팀이 각각 조사를 맡았다.

토양을 검사한 강원대 연구팀 조사에서 발암물질인 트리클로로에틸렌과 테트라클로에틸렌이 검출됐고, 지하수 시료 분석을 맡은 공주대 연구 결과에서는 같은 발암물질이 각각 먹는물 기준치의 31배와 33배를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물질은 고무와 유지, 플라스틱 등을 녹이는 화학용제로 장기간 섭취했을 때 인체에 암을 일으킬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군은 이듬해인 2004년 삼성물산이 제출한 최종 조사보고서를 최근 우리 정부에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는 이날 “반환 미군기지 토양오염 조사 항목에 고엽제 주성분인 다이옥신이 빠져 있다”며 국방부에 다이옥신 오염 여부를 조사해 줄 것을 공식 요청했다.

퇴역 미군들의 증언대로 고엽제가 이들 미군기지에 광범위하게 매립됐을 경우 토양오염 해결을 위해 엄청난 비용을 쏟아붓고도 정작 인류 역사상 최악의 독성 물질인 다이옥신을 제거하지 못한 셈이 돼 큰 파장이 우려된다.

‘화학물질 매립’ 의혹이 제기된 경기도 부천시 오정동 옛 미군기지 캠프 머서에 대한 정부 합동 현장조사에서는 조사단에 지방자치단체와 시민·환경단체들이 제외돼 큰 반발을 샀다.

황인오 부천시민사회단체협의회 공동대표는 이날 “부천지역 시민·사회단체 주요 인사 20여명이 대책회의를 갖고 민·관이 참여하는 공동조사를 요구하기로 했다”며 “시민들의 참여가 없는 조사는 신뢰성을 담보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부천시는 국방부가 주관할 화학물질 매립 여부 확인 작업에 경기도와 부천시, 지역 시민·환경단체 등이 참여할 수 있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부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