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 “MRO 사업 확장 않겠다”
입력 2011-05-25 21:33
삼성 및 LG그룹이 25일 “그룹 내 소모성 자재 구매대행(MRO) 업체가 계열사 및 1차 협력사의 물량 외에는 신규 영업을 중단토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대기업의 MRO 사업이 중소기업 영역을 침범한다는 비난이 거세지자 나온 조치다.
현재 삼성 MRO 업체들은 생산에 직접 필요한 원자재를 제외한 사무용품, 공구, 유지보수자재 등 소모성 자재 구매를 대행해주고 있다. 하지만 비용절감을 이유로 MRO 사업에 진출한 뒤 계열사는 물론 2·3차 협력사로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해 중소기업들의 반발을 샀다.
이에 따라 삼성은 “계열사들이 소모성 자재를 납품받기 위해 2000년 설립한 아이마켓코리아(IMK)는 앞으로 계열사 및 1차 협력사 위주로만 영업하고 더 이상 신규 거래처는 확보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고객과 소액주주 입장을 고려해 기존 거래는 유지하되 중소기업과 거래가 많은 정부와 공공기관의 물량은 거래가 끝나는 대로 더는 입찰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삼성은 또 중소기업계와 학계의 추천을 받아 IMK 사외이사 2명을 추가로 선임하기로 했다. 따라서 IMK의 사내외 이사는 각 3명으로 동수를 이루게 된다. 삼성은 이와 함께 IMK 이사회 산하에 학계와 중소기업계 인사가 참여하는 동반성장 자문기구도 설치키로 했다.
LG그룹도 이날 MRO 계열사인 서브원이 최근 중소기업청 주관으로 진행된 사업조정회의에서 공구유통도매상협회의 요구사항을 모두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서브원은 2차 협력사 이하 중소기업들을 상대로 영업하지 않기로 했다.
삼성 및 LG그룹이 MRO 사업 확장을 포기한 것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동반성장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불필요한 오해를 피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하지만 그동안 대기업의 MRO 사업에 대한 부정적인 면만 부각된 점에는 섭섭함을 감추지 않았다.
LG그룹 관계자는 “대기업 MRO 업체의 중소기업 대상 영업 진출이 제한되면 결국 인력과 시스템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공동구매 효과를 보지 못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맹경환 기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