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저축銀, 인천 동춘동 공동주택사업서도 거액 비자금 조성 의혹
입력 2011-05-24 22:47
저축은행 비리 사건을 수사 중인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 부산저축은행이 특수목적회사(SPC)를 통해 인천 동춘동 공동주택사업을 벌이며 거액의 대출금을 빼돌린 정황을 잡고 자금 행방을 추적 중인 것으로 24일 알려졌다.
검찰은 부산저축은행이 공동주택사업 시행업체 W사에 대출한 금액 중 200억원가량이 증발됐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 돈이 대주주 등의 비자금으로 조성됐는지를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부산저축은행은 2005년 11월 대리인을 내세워 자본금 3억원에 W사를 설립했다. 검찰은 은행 측이 이 업체에 639억원을 부당대출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W사는 아직 부지 취득도 완료하지 못했다. 지난해 말 기준 작성된 W사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이 회사는 토지 매입을 위해 397억원을 지출했으며, 지난해 69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검찰은 아울러 부산저축은행이 지난해 중순 부실 문제가 불거진 직후부터 정·관계 인사들을 대상으로 퇴출 저지 로비를 벌였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검찰은 검찰 간부 출신 박모 변호사가 지난해 7월부터 5개월 동안 부산저축은행 고문변호사로 활동하면서 금융감독원과 감사원에 탄원서를 제출하는 등 구명 운동을 벌인 정황에 대해 경위를 파악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 변호사는 청와대 고위 관계자와 친분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 변호사는 “부산저축은행 측으로부터 금융감독원 직원들이 너무 많이 상주해 통상적인 여신업무에 지장을 받는 등 경영정상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요청을 받고 고문 계약을 맺은 뒤 탄원서 제출이나 대전저축은행 매각 관련 자문 등 업무를 했다”고 말했다. 그는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부실 문제 전반에 대해 정책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탄원서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의견을 전했더니 지난해 말 저축은행이 계약을 해지했다”고 덧붙였다.
검찰은 금융 브로커 윤모씨가 부산저축은행 측으로부터 “로비를 해 달라”는 청탁과 함께 수억원을 받아간 단서도 잡고 이 돈이 실제 정·관계 인사에게 건네졌는지 쫓고 있다. 부산저축은행 측이 접촉을 시도했던 인사로 고위급 공무원, 국회의원 2∼3명의 이름이 거론된다.
지호일 노석조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