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1967년 국경론은 美 기존정책”
입력 2011-05-23 18:10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이 ‘1967 국경론’에 대해 “기존 미국 정책의 연장선”이라며 이스라엘을 안심시키고 나섰다.
오바마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열린 미국 내 최대 친(親)이스라엘 로비단체인 미·이스라엘 공동문제위원회(AIPAC)에서의 연설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국경은 협상에 의한 상호 영토교환을 통해 만들어져야 한다”면서 “이런 원칙은 빌 클린턴 전 대통령 때부터 해왔던 중재 노력의 기반이었다”고 강조했다고 AP통신 등이 보도했다.
그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직접 협상을 통해 1967년 6월 4일 설정된 국경선과는 다른 해법을 찾아보자는 것”이라며 “44년간 많은 변화가 있었던 만큼 양쪽 모두 변화의 필요성을 느낄 것”이라고 덧붙였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스라엘 입장에선 안보 문제 등으로 인해 어려운 선택이 되겠지만 의미 있는 평화 협상 진전이 없으면 이스라엘은 고립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그는 “(국경선 발언에 대해) 논란이 있다면 그것은 모두 근거 없는 것”이라며 “나는 그동안 모두 인정하고 있는 걸 공개적으로 말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전날 오바마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그를 비판했던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날 성명을 통해 “오바마 대통령과 공조해 평화협상을 지속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나가겠다”며 연설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한편 팔레스타인 측이 제3차 중동전쟁 기념일인 6월 5일 웨스트뱅크(서안지구), 가자지구 등에서 대규모 시위를 계획 중이라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전했다. 다음달 말에는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선박 15척가량이 이스라엘이 봉쇄하고 있는 가지지구로 진입을 시도할 예정이어서 이스라엘을 긴장시키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일주일 일정으로 아일랜드, 영국, 프랑스, 폴란드 등 유럽 4개국 순방길에 올랐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번 순방을 통해 중동 민주화 등에 대한 동맹국의 지원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24∼25일로 예정된 영국 방문에서는 양국 국가안보보좌관이 공동의장을 맡는 국가안보전략위원회 신설 방안이 발표될 예정이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