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고엽제 전담팀 꾸려 철저 조사”… 주한미군과 공동조사 협의 시작
입력 2011-05-20 22:19
주한 미군부대에 고엽제가 대량 매립됐다는 증언과 관련해 우리 정부가 발 빠른 대응에 나섰다.
관련 내용이 국내 언론에 대대적으로 보도된 20일 오전 환경부는 현지조사단을 파견했고, 오후에는 국무총리실 주재로 관계부처 긴급 대책회의가 소집됐다. 정부는 대책회의에서 정부 차원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기지 내부에 대한 한·미 공동 조사와 영외 지역에 대한 민관 합동조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처리를 앞둔 상황에서 터진 고엽제 매립 문제가 국내의 반미감정을 건드릴까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특히 전직 주한미군들이 주장한 것처럼 고엽제가 대량 매립됐다면 주변 지역 주민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어 주민들의 우려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 TF 팀장을 맡은 총리실 육동한 국무차장은 “고엽제 매립 문제는 사실 여부를 떠나 국민 건강과 직결된 것이기 때문에 대단히 심각하게 볼 수밖에 없다”며 “미국 측도 이번 사안을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어 조사에 적극 임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부는 또 주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지역주민 대표, 환경단체, 전문가 등이 참여한 민관 합동조사단을 구성해 즉시 기지 주변 지역에 대한 환경영향 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현지 조사에 돌입한 환경부는 1차적으로 기지 주변 지역의 오염실태 파악에 집중할 방침이다. 지하수와 하천뿐만 아니라 토지와 농작물, 각종 식물에서까지 고엽제 성분이 검출되는지 시료를 채취해 정밀 조사할 계획이다. 캠프 주변에 현재 음용수로 사용되는 지하수 관정은 모두 5곳으로 확인됐다. 환경부는 주민 불안감 해소와 의혹 규명을 위해 수질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인근 주민들의 건강 조사도 진행된다. 고엽제가 유발하는 폐암 림프암 육종암 후두암 백혈병 등의 질환자가 과거에 발생했고 현재 앓고 있는 사람이 있는지 보건 당국과 협력해 광범위한 역학조사를 진행키로 했다. 질병관리본부 등에 따르면 이곳 주민 중 고엽제 관련 질환자가 발견된 사례는 아직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남중 김정현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