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지는 다문화 가정 ‘눈물짓는 아이들’…이혼 가정 자녀 7년새 3배 증가

입력 2011-05-20 21:29


우리나라 국민과 외국인의 국제결혼은 지난 10년 사이 3배 가까이 증가했다. 결혼이 늘다 보니 자연적으로 이혼도 증가하면서 다문화 결손가정 자녀 수도 지난 7년 사이 3배 이상 늘어났다.

다문화 결손가정 자녀들은 다른 피부색과 언어·문화적 차이에다 부모 이혼에 따른 정신적 충격, 경제적 어려움까지 겪고 있어 관리와 도움이 절실한 상황이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국제결혼은 3만4235건으로, 2000년 1만1605건에 비해 2.95배 증가했다. 국제이혼 역시 늘어났다. 통계청이 공식 집계를 시작한 2004년 3300건이던 국제이혼은 지난해 1만1245건으로 3.41배 늘어났다. 지난 7년 동안 1만8715명의 한국 여성이 외국인 남편과 갈라섰고, 외국인 아내와 결별한 한국 남성은 3만7755명으로 집계됐다.

이런 상황에서 2004년 다문화 결손자녀는 500여명이었으나 2007년엔 1000여명으로 두 배 가까이 늘어났고 지난해에는 1500명을 넘어섰다. 7년 만에 무려 3.12배 늘었다. 국제 이혼이 매년 1만건 이상 발생하고 있어 다문화 결손자녀 수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다문화 결손가정의 자녀가 내국인 이혼가정의 자녀보다 정서·경제적으로 더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우리다문화가정센터 정유진 간사는 20일 “어머니가 국내 영주권이 없어 이혼 후 본국으로 돌아가면 모정이 결핍된 채 자랄 수 있다”며 “함께 살더라도 한국어나 한국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 어머니가 제대로 된 일자리를 얻지 못해 경제적 어려움으로 고통 받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수원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송미림 사회복지사는 “결혼 이주여성의 경우 친정과 같은 생활터전이 없기 때문에 당장 거주할 방 한 칸 마련하는 것도 힘들다”며 “또 대부분 영주권만 가지고 있을 뿐 국적이 없기 때문에 기초생활수급권자로 선정되지 못해 경제적 어려움이 크다”고 말했다. 자녀 명의의 양육수당이 나오지만 노동이 가능한 경우 수당은 절반 이하로 수준으로 감액된다.

여성가족부는 전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통해 다문화 결손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별도의 경제적 지원책은 없는 상황이다.

김미혜 이화여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장은 “다문화 결손가정 자녀들이 취학기에 접어들면 다문화 가정 출신이라는 점과 이혼 가정이라는 점 때문에 ‘이중 충격’을 경험할 수 있다”면서 “학교는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정부는 이혼 이주여성을 위한 경제적 지원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