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엔 ‘채찍’ 파키스탄엔 ‘당근’… 미국, 선제적 조치

입력 2011-05-19 22:04

미국이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을 사실상 버렸다. 반면 오사마 빈 라덴 사망 이후 긴장 관계인 파키스탄은 다시 껴안겠다는 입장이다.

◇시리아 제재 착수=백악관은 18일(현지시간) 알아사드 대통령과 최측근인 정부 고위 인사 6명에 대한 제재 명령을 발표했다. 이들의 미국 내 자산이 동결되고, 미국인과 금융기관을 포함한 미국 기업들은 거래를 하지 못하게 됐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의회 지도부에 보낸 서한에서 “제재 명령은 시리아 정부가 계속해서 국민들을 폭력적으로 탄압하고 있는 데 대한 대응 조치”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시리아는 이란을 견제해 왔고, 이스라엘과 아랍의 평화협상에서 중재자 역할을 해 왔다. 이런 이유로 미국은 알아사드 대통령이 민주화 시위를 탱크 등을 동원해 폭압적으로 진압하고 있지만 적극 압박하지 않았다.

시리아 관영 뉴스통신 사나(SANA)는 19일 “아사드 대통령에 대한 미국의 제재는 오랜 기간 이어져 온 이스라엘 편들기 정책의 일환”이라며 “제재는 시리아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할 것”이라고 비난했다.

◇파키스탄과는 관계 복원=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은 펜타곤에서 빈 라덴 사망 이후 첫 기자회견을 갖고 “파키스탄 정부가 그(빈 라덴)의 은신처를 미리 알고 있었다는 증거는 없다”며 “테러리스트 척결을 위해 양국관계는 유지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파키스탄의 누군가는 은신처를 알고 있었을 것으로 믿는다”고 말해 불신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여운을 남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파키스탄과의 관계를 일정 부분 복원하는 것은 그만큼 알카에다와의 전쟁에서 파키스탄의 도움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미 의회 분위기는 여전히 파키스탄과의 관계를 재검토하라고 촉구하는 쪽이다. 민주당 소속 중진의원 5명은 ‘파키스탄의 테러 근절 노력을 미국이 확신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원조를 제공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서한을 행정부에 보냈다. 미 행정부와 의회가 파키스탄을 달래고 압박하는 역할을 분담하면서 외교적 지렛대를 강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