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수 이어 임상규 前농림까지…관가 ‘술렁’
입력 2011-05-20 00:28
정창수 전 국토해양부 차관과 임상규 전 농림부 장관(현 순천대 총장)이 부산저축은행그룹의 영업정지 직전에 예금을 인출한 것으로 19일 알려지면서 관가가 술렁이고 있다. 정 전 차관이 돌연 사임한 이유가 예금 인출과 관련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저축은행에 예금이 있었던 현직 장차관급 인사들이 수두룩했다는 점에서 줄줄이 유탄을 맞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임 전 장관은 만기가 9개월 남은 부산저축은행 정기예금 5000만원가량을 부산저축은행 영업정지 방침이 사실상 결정된 1월 25일 직후 인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임 전 장관은 부산저축은행 박연호 회장의 사돈이다. 임 전 장관은 “다른 데 쓸 일이 있어서 인출한 것”이라며 특혜인출 의혹을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본보는 임 전 장관과 접촉을 시도했으나 전화를 받지 않았다.
특히 지난해 말 기준 부산저축은행그룹 계열 은행 5곳과 보해, 도민, 삼화저축은행에 본인이나 가족 명의로 1000만원 이상을 갖고 있는 고위공직자와 사회지도층 인사가 모두 44명이고, 이들 중 장차관이 15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돈을 그대로 예치해뒀다면 문제가 없지만, 만약 부산저축은행 영업정지 직전에 인출했다면 무조건 옷을 벗어야 하는 상황이다. 재미 언론인 안치용씨는 지난해 말 기준 부실 저축은행에 예금을 갖고 있었던 차관급 인사 6명의 명단을 공개했다. H씨는 자신과 배우자, 차녀가 모두 계좌를 갖고 있었고, J씨는 본인과 배우자 등 2명의 명의로, K씨는 장녀가, L씨는 본인이, J씨는 장녀 명의로 계좌를 갖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들이 예금을 인출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과천청사의 한 정부 고위 관료는 19일 “저축은행 예금을 조기 인출한 사실이 드러난 공무원은 이유 불문하고 옷을 벗어야 하는 상황 아니냐”며 “더구나 저축은행의 로비 대상인 부처의 공무원들은 좌불안석일 것”이라고 말했다.
정 전 차관의 경우 지난해 2월 초 대전저축은행과 중앙부산상호저축은행에 본인과 배우자, 자녀(아들·딸) 명의로 정기예·적금을 각각 가입했고, 총 2억1480만원을 부산저축은행 영업정지 직전인 올해 2월 2~14일 사이 인출했다. 모두 예금자 보호 대상인 5000만원 미만으로 가입된 예금이었다.
정 전 차관은 이에 대해 “연초부터 저축은행 부실 우려가 커지면서 1년만 채우고 인출한 것”이라며 “영업정지 정보를 사전에 입수하고 돈을 인출한 것은 절대 아니다”고 강조했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관계자는 “정 전 차관이 영업정지 이전에 인출한 사실을 시인한 만큼 검찰의 조사 범위에 해당한다”며 소환조사 가능성을 시사했다.
노석철 기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