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수사] 청탁·로비 있었나… 감사원 '부실 묵인' 의혹 캔다

입력 2011-05-19 01:01

부산저축은행그룹의 정·관계 로비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가 전방위로 뻗어나가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이어 금융위원회, 예금보험공사, 감사원도 검찰 조사 대상에 오를 조짐이다. 특히 검찰이 저축은행과 정·관계 인사 간 연결고리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진 건축업자를 검거해 로비의혹 수사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금융위, 예보, 그 다음은?=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 최근 금융위 과장급 인사들을 불러 조사한 것으로 18일 알려졌다. 부산저축은행에 대한 부실 감사, 영업정지 정보 사전 유출 등에 대한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참고인 자격으로 불렀다는 게 검찰 입장이다. 그러나 연이어 비위 사실이 드러나는 금감원은 물론이고 이를 관리·감독하는 금융위가 불법 행위에 개입했을 개연성도 충분히 있다. 검찰은 금융위가 지난 2월 7개 저축은행에 대한 영업정지 조치를 최종 결정할 때 부산저축은행 등이 여러 인사를 동원해 적극적인 구명 활동을 벌였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검찰은 특히 감사원에 대한 조사를 검토하고 있다. 감사원이 지난해 1∼4월 두 차례나 검사 기간을 연장하며 99명의 조사 인력을 투입해 저축은행 부실 감독실태 등을 감사한 뒤 부실 상황을 대부분 파악하고도 검찰에 고발이나 수사 의뢰를 하지 않은 경위가 석연치 않다는 것이다. 김황식 당시 감사원장이 국회에서 밝힌 대로 감사 과정에 ‘여러 가지 청탁 내지 로비’가 있었는지도 조사가 필요한 부분이다.

검찰은 예보가 2009년 2월과 지난해 3월 금감원과 함께 부산저축은행에 대한 공동조사를 벌인 뒤 공모해서 은행 비리를 묵인해 줬는지도 확인할 계획이다. 최근 예보 이사급 간부를 불러 경위를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로비 연결고리 추적=검찰은 이날 배임수재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한 윤모씨의 입을 여는 데 집중할 방침이다. 모 건설회사 임원 출신인 윤씨는 김양 부산저축은행 부회장의 측근으로 검찰 수사 직전 잠적했다. 김 부회장은 2003년 11월 박연호 회장으로부터 대표이사 자리를 이어받아 지난해 1월 물러나기까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을 주도했다.

검찰은 부산저축은행의 정·관계 인맥 관리도 총괄한 김 부회장을 가까이서 도운 윤씨를 조사하는 것이 로비 수사의 핵심으로 보고 검거에 주력했다. 검찰은 윤씨 구속영장이 발부돼 신변이 확보되면 윤씨를 상대로 저축은행과 정·관계 인사들을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했는지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검찰은 이와 함께 저축은행 사외이사로 영입한 인사들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도 주목하고 있다. 부산, 부산2저축은행의 경우 전 국회의원이 사외이사로 이름이 올라 있고, 도민저축은행은 전 노동부 장관, 전 경찰청장과 서울경찰청장, 전 국가정보원 차장 등이 전·현직 사외이사 혹은 감사위원을 맡아 매월 수백만원씩 받았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