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매각방안 확정] 강만수(산은지주 회장)의 힘

입력 2011-05-17 22:47


금융 당국이 내놓은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은 사실상 강만수(사진) 산은지주 회장이 2008년 기획재정부 장관 당시 내놓은 ‘산은+우리금융+기업은행’의 메가뱅크(초대형 은행)론의 2011년판이라는 평가다.

금융 당국은 이를 위해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 개정, 자회사 병행매각 방침 수정, 산은 단독 입찰시 추후 논의 방침 등 여러 장치를 마련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스스로 “삼고초려를 해 모셔왔다”고 밝힌 강 회장을 중심으로,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우리금융 민영화 작업이 순식간에 초대형 국책은행 재편 방안으로 바뀌게 된 셈이다.

당초 우리금융 민영화는 민간 금융지주와의 인수·합병(M&A)을 중심으로 추진됐었다. 그러나 금융위기 여파로 난관을 겪었다. 메가뱅크론의 추종자였던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이 우리금융 인수 불참을 선언했고, 신한금융은 경영진 내분 사태로 일찌감치 아웃됐다. 유력한 인수 후보였던 하나금융은 외환은행 인수로 방향을 급선회했다. 독자 민영화를 추진했던 우리금융 컨소시엄마저 산업자본이 포함된 컨소시엄은 동일인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법리검토 결과에 따라 막판 불참을 선언했다.

공적자금 회수를 목적으로 10년 만에 추진된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이 좌초되자 금융 당국은 정책금융기관 기능 재편 추진 과정에서 산은+우리금융 방안을 조율하기 시작했다. 화룡점정은 강 회장의 영입이었다. 김석동 위원장은 강 회장 영입 후 “(산은지주 민영화를) 믿고 통으로 맡길 사람이 필요했다”고 밝혔었다. 금융권은 김 위원장과 강 회장의 교감 아래 이번 재매각안이 결정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금융 당국은 이를 위해 금융지주가 다른 금융지주회사를 소유할 경우 지분 95% 이상을 보유해야 한다는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을 개정할 전망이다. 또 우리금융 자회사를 일괄 매각함으로써 분리 매각을 원했던 다른 금융지주사보다 산은지주가 경쟁우위에 설 수 있게 됐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