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후폭풍] 황우여 “국책사업 선정과정 검토”-김영진 “즉각 백지화후 재심사를”

입력 2011-05-17 18:45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의 대전 대덕행을 놓고 정치권에서도 후폭풍이 거세다. 특히 한나라당에서는 영남 지역 의원들이 정부를 상대로 노골적인 불만을 제기하는 등 내분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황우여 원내대표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최근 정부의 국책사업 선정으로 지역갈등이 과열 양상으로 번지지 않을까 우려된다”며 “대형 국책사업의 결정 과정에 문제가 없는지 당에서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지역 의원들과 단체장들이 갈등 해소의 전면에 나서 국민들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도록 해 달라”며 중재 역할과 자제를 당부했다.

그러나 김성조(경북 구미갑) 국회 기획재정위원장은 “국책사업에 지방자치단체가 목을 매고, 또 실패하면 극렬히 반대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지방경제가 너무 어렵기 때문”이라며 “지방을 고사 직전까지 방치하면 어떤 국가의 정책도 성공할 수 없다”고 목청을 높였다.

김정훈(부산 남구갑) 정책위부의장은 한술 더 떠 정부에 대한 원망을 쏟아냈다. 그는 “관련 지자체의 의견을 제대로 수렴하지 않고 이렇게 중요한 국책사업을 정부가 일방적으로 결정한다는 것 자체가 굉장히 유감”이라며 “동남권 신공항도 백지화시켜놓고, 부산에는 정부가 뭘 해줬느냐”고 따졌다. 김 부의장은 또 “내년 총선에서 야당이 ‘한나라당과 MB 정부는 수도권만 챙기고 지방은 홀대한다’고 공격할 것”이라며 “당 차원에서 지방 발전을 위한 특별조치법을 제정해서 ‘아, 한나라당 정부가 지방을 우대하고 챙기는구나’ 하고 피부에 와 닿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내에서는 호남과 충청 출신 의원들 간 반응이 극과 극으로 엇갈리고 있다. 과학벨트 호남 유치위원회 공동위원장으로 국회에서 단식농성 중인 김영진(광주 서구을) 의원은 성명을 내고 “정당성을 상실한 과학벨트 입지선정 결과를 즉각 백지화하고 재심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그렇지 않으면 국회 차원의 과학벨트 예산지원 중단은 물론 청문회와 국정조사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저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반면 과학벨트 유치에 성공한 충청권 의원들은 향후 광주, 대구 등으로의 분산배치는 절대 안 된다고 못박았다. 홍재형(충북 청주 상당구) 국회부의장은 원내대책회의에서 “앞으로 과학벨트가 분산배치된다면 심각한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김호경 기자 hk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