쇄신파-친이계 ‘全大 고지 선점’ 힘겨루기 본격화

입력 2011-05-17 18:27


7·4 전당대회를 앞두고 쇄신파 대(對) 친이명박계의 세 대결 양상이 본격화하고 있다.

원내대표 경선에서 일격을 당한 친이계는 초·재선 중심으로 전력을 재정비, 감세 등 정책을 놓고 쇄신파와 일전을 불사하겠다는 태세다. 쇄신파는 당권에만 몰두한다는 비판을 의식해 전대후보 단일화 논의를 접고 ‘보수 가치’ 논의에 집중키로 했다. 양측은 공교롭게 17일 오전 같은 시각 국회 의원회관에서 각각 모임을 가졌고, 앞으로도 매주 화요일 오전에 정기적으로 만나기로 했다.

◇쇄신파, “후보 단일화 논의 않는다”=‘새로운 한나라’는 18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날 첫 공식 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선 ‘특정 당권주자를 밀기 위한 모임이 돼서는 안 된다’는 경계의 목소리가 나왔다.

이에 따라 이들은 모임 차원의 후보 단일화 논의는 하지 않기로 했다. 남경필 나경원 정두언 의원 등을 대상으로 ‘미니 경선’을 거쳐 전대에 단일후보를 낸다는 구상을 사실상 접은 것이다.

모임 간사인 정태근 의원은 “누가 당 대표를 맡느냐보다 한나라당 변화의 방향과 내용을 올바로 잡고 이를 실천하는 데 주력키로 의견을 같이했다”며 “보수 가치의 재정립, 민생안보와 국민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 재점검, 정당·정치문화·선거제도 개혁과 국회 선진화를 모임의 ‘4대 활동방향’으로 설정했다”고 말했다.

한편 쇄신 모임이 정치모임화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자 친이계로 이상득 의원과 가까운 주호영 의원은 모임을 탈퇴했다. 대신 친박근혜계 성윤환 의원이 새로 회원에 가입해 회원 수는 44명으로 유지됐다.

◇친이계, “당권 장악 위한 쇄신은 안 돼”=22명이 모인 친이계 초·재선 모임에선 이명박 정부의 업적이 국민에게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는 이유에 대한 분석과 반성이 이어졌다. 또 국민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등 한나라당의 기본 가치를 빼고는 다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하지만 토론 분위기는 이내 쇄신파 성토로 바뀌었다. 한 의원은 “당권을 장악하기 위한 탐욕스러운 쇄신 아니냐”고 했고, 다른 의원은 “내 탓은 없고, 남 탓하면서 남을 끌어내리려 하는 게 쇄신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여옥 의원은 “쇄신한다고 해서 ‘짝퉁 민주당’이 될 수는 없지 않느냐”고 했다.

친이계 소장파들도 앞으로 정책과 보수의 가치를 중심으로 한목소리를 내기로 뜻을 모았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에서도 행보를 함께하기로 했다. 특히 법인세는 인하 기조는 그대로 하고 소득세 인하만 철회키로 해 법인세 추가 감세 철회를 주장하는 쇄신파와 격돌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전대 룰 논란=정의화 비상대책위원장은 라디오방송에서 “2000년대 초 대표 선출을 위해 전 당원투표를 했는데 전국에 280개의 투표소를 만들고 23만5000여명 당원이 참여했었다”면서 “당원 리스트를 만들고 선거관리위원회에 의뢰를 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시간적 문제가 있어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당 대표와 최고위원 선거 분리에 대해서도 회의적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새로운 한나라’ 측은 “이미 2003년에도 전 당원투표제를 실시한 바 있다”며 “현실적으로 전 당원투표제가 어렵다면 선거인단을 대폭 늘려 줄 세우기식 전대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당권·대권 분리를 규정한 현행 당헌을 고수키로 했다.

한장희 유성열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