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경기도지사 공식 제시 “무한사랑으로 국민 섬기기 맞춤형 무한복지시대 열것”

입력 2011-05-17 23:11


김문수(사진)경기지사가 지난해 도지사 선거때 복지공약이었던 ‘맞춤형 무한복지’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복지를 공식적으로 제시하고 나섰다. 이는 복지가 차기대선의 주요 이슈가 될 것으로 정치권이 예상하는 가운데 나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김 지사는 17일 수원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린 제1회 복지경기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최근 보편적 복지냐 선별적 복지냐는 논쟁이 있지만, 우리가 지향해야 할 무한복지는 ‘위험에 처한 국민이면 누구든지 무한사랑으로 섬기는 복지여야 한다’며 자신이 구상해온 ‘맞춤형 무한복지’를 제시했다.

그는 “출산율 꼴찌, 자살률 1위라는 현실을 해결하지 못하고는 대한민국의 미래가 없다”고 새로운 보육정책의 필요성을 전제하고 “보육과 교육, 일자리와 의료 등 복지를 하나로 묶어서 현장과 수요자에게 맞는 ‘맞춤혐 무한복지’로 새로운 복지시대를 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가 주장하는 ‘맞춤형 무한복지’는 전 생애에 걸쳐서 필요한 때에 일자리, 보육, 생계, 노후, 건강의 위기를 해소하고 성(性)과 연령, 장애, 인종의 차별 없이 필요한 것이 제공되는 복지를 뜻한다.

김 지사는 맞춤형 무한복지의 3대 목표로 정의로운 사회 실현, 지속가능한 복지, 가족친화적 복지를 꼽았다.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할 방안으로 그는 기초노령연금 25만원 인상, 무한돌봄센터를 통한 통합복지 실천, 사회적기업 자립지원 자금 조성, 20%대인 자원봉사참여율 50% 상향 등을 제시했다.

수원=김도영 기자 do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