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부실덩어리 ‘알펜시아’ 정면돌파
입력 2011-05-17 23:19
강원도가 공기업 부실사업의 대표적 사례로 지목되고 있는 평창 알펜시아리조트 문제해결을 위해 강도 높은 대책을 마련·시행한다.
강원도는 알펜시아 문제해결을 위한 첫 걸음이 신뢰회복인 만큼 분양률과 자금 유동성 현황, 사업추진 과정을 모두 공개하겠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최문순 지사의 판단에 따른 조치로 김진선·이광재 전 지사 때와는 전혀 다른 선택이다. 알펜시아리조트 사업을 처음 시작한 김 전 지사는 국회와 강원도의회, 시민사회단체가 요구한 분양률 공개를 끝까지 거부했다. 이 전 지사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공개하겠다던 태도를 바꿨다. 그러나 최 지사는 “알펜시아리조트에 대해 잘못 알려진 정보가 분양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신뢰회복을 위해 모든 상황을 투명하게 공개하겠다는 정면 돌파 카드를 꺼내 들었다.
1조6000억원에 달하는 사업비 대부분을 빚으로 충당한 알펜시아리조트는 분양률이 저조해 현재 연간 이자만 400억원을 물어야하는 처지에 놓여있다. 도는 그동안 알펜시아리조트 부실로 촉발된 강원도개발공사의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영주권 부여, 강원도개발공사 소유의 강원랜드 주식 매각, 자산 매각 등 다양한 방법을 추진했으나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
도의 알펜시아리조트 사업 현황 공개는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가 결정되는 오는 7월6일을 기점으로 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도는 2018년 동계올림픽을 반드시 평창에 유치한다는 전제 아래 유치성공 시점과 맞춰 알펜시아리조트의 분양률과 자금 유동성 상태, 판촉 전략을 공개해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도와 접촉해 온 중국과 일본의 예비 투자자들도 2018평창동계올림픽 유치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 지사는 “성사단계까지 갔던 알펜시아리조트 분양이 불투명한 사업 전망 때문에 무산됐던 적이 많았다”며 “분양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조만간 사업 전반에 대한 내용을 투명하게 공개하도록 지시했다”고 말했다.
춘천=정동원 기자 cd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