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 “우리·산은금융 합병 강행땐 총파업”
입력 2011-05-16 18:25
우리금융지주 재매각 방식 확정을 앞두고 ‘산은금융 주도의 메가뱅크(초대형은행)안’에 대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16일 “정부가 우리금융과 산은금융 합병을 강행할 경우 총파업을 불사하는 강력한 투쟁에 돌입하겠다”고 나섰다. 또 이번 매각 입찰에 나서기로 한 산은금융과 우리금융도 서로의 입장을 반박하며 정면충돌하는 양상이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17일 전체회의를 열어 예보가 보유한 우리금융 지분(56.97%)에 대한 매각 방식을 확정짓는다. 이번 회의의 핵심은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 개정 여부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2개사 이상이 참여한 유효경쟁의 실패로 우리금융 매각이 중단된 만큼 이번엔 다른 금융지주사가 입찰에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해당 시행령을 손질하겠다는 입장이다. 최소 매입 지분 조건 95% 이상을 50% 이상으로 완화하면 인수 시 정부 보유 지분 외에 추가로 지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금융노조는 이날 서울 을지로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우리금융과 산은금융의 합병을 통해 메가뱅크 만들기를 강행한다면 총파업을 불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금융노조는 “우리금융과 산은금융의 합병은 초대형 국유은행 탄생을 의미하는 것으로 당초 목표였던 민영화와는 거리가 멀다”며 “정부가 거대 국유 금융지주사를 지배하면서 경제 전반을 좌우하겠다는 관치금융의 야욕을 드러낸 것”이라고 비판했다.
우리금융과 유력 인수 후보인 산은금융도 각자의 입장을 피력하며 격앙된 분위기다. 정부 소유 은행 두 곳을 합치는 게 정부가 추진해온 ‘진정한 민영화’냐는 논란에 대해 산은금융이 15일 내부 자료 공개를 통해 “우리금융을 합병하면 산은금융에 대한 정부 지분율이 50% 정도로 낮아져 자연스럽게 민영화가 추진된다”고 밝혔다.
이에 우리금융도 “(산은의 시나리오대로라면) 완전 민영화까지는 최소 20년 이상이 걸린다”며 공격에 나섰다. 우리금융 측은 “산은금융의 우리금융 인수는 정부 돈(재정자금)으로 정부 돈(공적자금)을 갚는 돌려막기에 지나지 않는다”며 “산은금융이 인수자금을 회사채나 전환사채, 우선주 발행 등 어떤 형태로 마련하든 100% 국책 금융기관이 조달한 것이므로 정부의 지급보증이 따르는 재정자금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