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이용 양극화 학력·소득별 격차 커”

입력 2011-05-15 19:08

학력과 소득이 높을수록, 서울 등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스마트폰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15일 발간한 ‘국내 IT 이용에서 인구사회적 격차분석’ 보고서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기술(IT) 인프라를 가진 국내에서도 성별과 학력, 직업, 거주지 등에 따라 IT 서비스 이용 격차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래사회연구팀이 지난해 하반기 전국의 15∼49세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및 대면조사 결과를 활용했다.

분석 결과 대학원 이상 학력을 가진 사람들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40.0%로 고졸 이하(17.9%)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대졸 학력자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27.2%로 집계됐다.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이용률도 대학원 이상이 70.8%로 가장 높았다. 이어 대졸(66.3%), 고졸 이하(52.4%) 순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등 IT 서비스 이용률은 가구 소득과도 대체적으로 비례했다. 월평균소득 500만원 이상 가구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20.7%였고 400만원대(16.3%), 300만원대(14.2%), 200만원대(17.8%) 등 소득이 낮아질수록 이용률도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월소득 200만원 미만인 가구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9.9%로 500만원 이상 가구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거주자의 스마트폰 이용률(20%)이 수도권 도시(16.7%)나 광역시(13.7%), 지방도시(13.1%) 보다 높게 나타났다. 주거형태로는 아파트 거주(17.6%)가 비거주(14.3%)에 비해 높았다.

IT 격차를 축소하기 위해 다양하고 차별화된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로 학습비용이 꼽히는데 통신사업자나 단말기 제조업체가 이용교육을 강화하면 IT 격차를 해소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보고서는 “직업별, 소득별, 거주지역별 격차는 IT에 대한 접근성이나 지불능력 부족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지역에 산재돼 있는 주민센터를 활용해 취약계층의 IT 이용률을 높이고 인프라 투자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