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대전 유력] 대덕단지와 '시너지' 기대… 입지 사전 유출로 논란 자초

입력 2011-05-16 01:08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의 최종 입지(거점지구)로 대전이 확정된 데는 정부 출연연구소와 민간 기술연구소들이 밀집한 대덕 연구개발특구(대덕단지)를 바탕으로 강력한 연구·산업 기반이 갖춰져 있기 때문이다.

◇연구·산업 기반 갖춘 과학 허브=1970년대 초 국가의 모든 연구 역량을 집중하고자 조성된 대덕단지에는 정보통신, 바이오, 나노, 우주항공, 원자력 등 첨단 기술을 연구하는 수많은 정부 출연연구소(원자력연구원 항공우주연구원 핵융합연구소 등)와 기업 연구소가 집적돼 있다.

또 우리나라 이공계 박사의 10%를 포함한 2만명 이상의 과학자들이 모여 있으며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UST) 등 기술인력 교육 인프라가 잘 갖춰진 한국의 ‘과학 허브’로서 면모를 갖추고 있다. 과학벨트의 중추인 기초과학연구원과 협력·상생이 가능한 것이다.

과학벨트 정량평가 지표 가운데 ‘연구·산업 기반 구축 및 집적 정도(연구개발 투자, 연구인력 확보, 연구시설·장비 확보, 연구 성과의 양적·질적 우수성)’에서 훨씬 유리한 점수를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또 ‘전국 2시간 내 접근성’ 때문에 다른 평가 지표인 ‘국내외 접근 용이성(국제공항 및 대도시 접근성, 전국 시·군 간 시간 거리)’에서도 대전이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을 수 있다. 정치적 판단이 대전 입지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렵다. 이명박 대통령이 대선 후보 당시 대덕단지와 대전 인근의 세종시(행정중심복합도시), 충북 오송·오창 산업단지를 하나로 묶어 충청권에 과학벨트를 조성하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이다.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 절반, 최종 후보 탈락 지역에 분산 배치될 듯=지난달 13∼22일 과학벨트기획단이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과학벨트 부지를 조사할 당시 대전시가 제출한 곳은 대덕단지 내 신동지구와 둔곡지구였다. 대전이 과학벨트 입지로 최종 지정되면 기초과학연구원 본원과 중이온가속기가 이곳에 통합 배치된다.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입지로 최소 165만㎡(50만평) 이상의 부지가 필요한데 신동(170만㎡)과 둔곡(약 200만㎡) 모두 충분한 면적이다. 과학벨트 거점 지구가 대덕단지에 들어서면 산업, 금융, 교육 등 측면에서 뒷받침하는 기능 지구의 경우 충북 오송과 세종시 등이 선정될 가능성이 크다. 이밖에 기초과학연구원 소속 50개 연구단 가운데 본원에 들어서는 25개를 제외한 나머지 25개 연구단은 지역 안배 차원에서 거점지구 최종 후보지 5곳에 올랐다가 탈락한 지역(특히 광주, 대구·경북)에 분산 배치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과학벨트의 최종 입지 선정을 위한 심사가 끝나기도 전에 ‘대전 확정설’이 정치권에서 흘러나오면서 비난의 화살이 주무부처인 교육과학기술부로 쏟아지고 있다. 교과부 이주호 장관은 앞서 “벨트 입지 선정에 정부안(案)은 절대 있을 수 없다”면서 세간의 ‘정치적 판단설’을 부인했지만 결국 입지 사전 유출로 ‘정치적 결정’임을 자인하면서 지역 갈등에 기름을 끼얹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