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제폭탄 폭발사건 유사범죄에 대비해야

입력 2011-05-15 17:47

강남고속버스터미널과 서울역에서 지난 12일 연이어 발생한 사제폭탄 폭발사건은 범행 동기에 관심이 쏠렸다. 인명피해 없이 대합실 물품보관함만 손상됐기 때문이다. 테러 범죄라기보다는 사회에 불만을 품은 자들의 ‘묻지마’ 범죄 가능성에 무게가 실렸다. 그런데 경찰이 용의자 3명을 검거해 범행 동기 등을 추궁해 보니 전혀 엉뚱한 목적의 범죄로 드러났다. 주식거래에서 이득을 보기 위해 계획적으로 범죄를 저질렀다고 한다.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경찰이 어제 발표한 수사 결과에 따르면 주범은 지난해 7월 교도소 출소 후 3억여원을 빌려 주식 선물거래에 투자했다가 실패한 40대 남성이다. 빚 독촉을 받자 11일 선배에게서 5000만원을 빌려 선물옵션에 투자한 뒤 풋옵션 만기일인 12일 범행을 저질렀다. 공공시설 폭발사건으로 주가 폭락을 유발해 이득을 얻기 위해서였다. 폭발물 제조법은 인터넷에서 배웠다. 오로지 개인의 욕심을 채우고자 사회 불안을 야기했다니 엄벌에 처해 마땅하다.

이번 사건은 간단히 넘어갈 문제가 아니다. 우선 유사범죄 등이 우려된다. 영화에서나 있을 법한 ‘신종 범죄’이기 때문이다. 수많은 사람이 오가는 곳에서 사제폭탄이 터지는 바람에 시민들은 불안에 휩싸였다. 사건 발생 이후 폭발물 의심 신고가 잇따라 들어와 경찰 특공대가 출동하는 소동도 벌어졌다. 한 사람의 황당한 범죄가 우리 사회에 끼친 해악과 사회적 비용은 이렇게 크다. 특정한 의도를 가진 유사범죄, 반사회적 이상성격자의 모방범죄가 확산된다면 사회 혼란을 초래할 수도 있다. 정부 당국이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야 하는 이유다.

아울러 ‘사제폭탄 만드는 방법’ 등의 사이버 유포 행위에 대한 당국의 감시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요즘에는 해외 사이트를 통해 폭탄 제조법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경찰은 해외 사이트의 경우 단속 권한이 없다고 하지만 마냥 방치해 놓을 수는 없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폭탄 재료도 인터넷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만큼 폭탄 제조에 쓰이는 화학물질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정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