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전력, 3호기 수소 폭발전 원자로내 높은 방사선량 은폐

입력 2011-05-13 18:42

도쿄전력이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 3호기에서 수소 폭발이 발생하기 전 원자로 건물 내의 비정상적으로 높은 방사선량을 확인하고도 이를 은폐한 것으로 드러나 물의를 빚고 있다.

아사히신문은 “수소 폭발 하루 전인 3월 13일 원자로 건물 내부로 들어가는 이중문 안쪽의 방사선량이 시간당 300밀리시버트(m㏜)였다”고 13일 보도했다. 300m㏜는 원전 작업자의 연간 피폭한도가 250m㏜라는 사실을 감안할 때 매우 높은 수치다.

또 같은 날 오후 2시7분에는 원자로 건물 내에 수소가 고이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인식했고, 오후 3시19분에는 중앙제어실에 있는 방사선량계의 경보가 자주 울리기 시작했다. 도쿄전력은 3호기 원자로 내의 압력과 수소 통제에 실패했고 3월 14일 오전 11시 건물 내에서 수소 폭발이 발생했다.

그러나 도쿄전력은 이런 사실을 외부에 공표하지 않았으며, 근로자들에게도 알리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제 환경보호단체인 그린피스 조사 결과, 제1원전 근해의 해조류도 고농도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린피스는 제1원전에서 50㎞ 떨어진 바다에서 지난 3일과 5일 채취한 해조류를 조사한 결과, ㎏당 1만2000∼1만3000베크렐(㏃)의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방사성 물질이 요오드인지 세슘인지는 특정되지 않았다. 일본 식품위생법에 근거한 허용한도는 요오드 ㎏당 2000㏃, 세슘 ㎏당 500㏃이다.

한편 일본 정부가 제1원전 사고에 대한 도쿄전력의 손해배상 지원방안을 확정했다고 마이니치신문 등이 이날 보도했다.

가이에다 반리(海江田万里) 경제산업상은 “도쿄전력을 공적 관리하는 한편, ‘원전배상기구(가칭)’를 만들어 원전 사고 손해배상을 전담케 할 것”이라고 밝혔다.

도쿄전력은 원전배상기구의 지원을 받아 피해자들에게 손해배상금을 지급하고, 매년 벌어들인 수입에서 지원금을 상환해야 한다. 정부는 도쿄전력이 전기요금을 올려 부담금을 충당할 수 없도록 했다.

양지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