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6·25이후 12國서 18만명 납치” 평양 외곽 ‘외국인 납북자 거주지’ 사진도 공개
입력 2011-05-13 18:25
북한이 한국전쟁 이후 12개 나라에서 18만여명을 납치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국의 비정부기구(NGO) 북한인권위원회(HRNK)는 12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내셔널프레스클럽에서 ‘북한의 외국인 납치 범죄’ 보고서를 발표하고 “국제 연대로 납북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북한인권위가 밝힌 납북자는 대부분 한국인이다. 한국전쟁 때 납북된 8만2000여명과 북송사업으로 북한에 간 재일교포 9만3000여명 등 17만5000여명이 통계에 포함됐다.
일본인은 19명이 한국전쟁 이후 납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납북자의 국적은 중국(마카오 포함)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루마니아 레바논 요르단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이다.
북한인권위는 보고서에서 “피해자의 출신국과 이 문제에 관심 있는 나라가 힘을 합쳐 북한에 납북자 생사를 확인해 달라고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납북자가 살아 있다면 가족을 만나게 해주고 송환을 추진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북한인권위는 이어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라고 미국 정부에 권고했다. 미국은 2008년 10월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뺐다.
북한인권위는 평양 외곽 일대 인공위성 사진 여러 장을 공개하고, 이곳이 외국인 납북자 거주지라고 주장했다. 평양 동북리 초대소 인근 모습을 담은 사진에는 납북자 거주시설, 어린이유치원, 경찰서 등이 영어로 표시돼 있다. 대동강변 일대 사진에는 일본 적군파와 요도호 납치범이 살고 있다는 ‘일본 혁명마을’의 위치가 나타나 있다. 모두 구글 어스 사진이다.
북한인권위는 위성사진 판독 전문가인 커티스 멜빈이 북한을 탈출한 한국·일본인의 회고록 등을 참고해 납북자 거주지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외국인 납북자는 김정일 정치군사대학에서 일본어나 유럽 언어를 가르치도록 강요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인권위는 북한 인권 실태를 알리고 개선하기 위해 2001년 10월 설립된 미국 시민단체다. 로널드 레이건 정부에서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낸 리처드 앨런이 공동의장을 맡고 있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