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진주 이전 확정] 사방에서 반발

입력 2011-05-14 00:11

LH의 경남 진주혁신도시 일괄 이전이 사실상 확정되자 분산 이전을 요구한 전북도는 물론 경남도와 진주시까지 “우려했던 빅딜설이 결국 현실화됐다. 결코 수용할 수 없다”며 강력 반발했다.

여기에다 LH 본사가 있는 경기도 성남시도 이번 이전 결정으로 세수가 줄고 지역경제가 타격을 입을 것이라며 울상을 짓고 있다.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항의농성 중인 김완주 전북도지사는 13일 “혁신도시 건설 취지는 지역 균형발전에 있는데, LH를 경남으로 몰아줌으로써 전주혁신도시의 성공 가능성은 작아졌고, 전북 경제도 낙후성을 면치 못할 것”이라며 “경남으로 이전키로 했던 국민연금공단을 전북으로 재배치하는 것은 지역 달래기 식의 미봉책에 지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전북 상공회의소협의회도 “LH가 빠진 전주혁신도시는 반쪽에 불과하다”면서 “전북의 발전을 이끌 견인차이자 성장동력인 전주혁신도시의 희망을 갈기갈기 찢어 경남에 일괄 이전하는 것을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LH 일괄 이전을 따낸 경남과 진주시도 전혀 환영하는 분위기가 아니다. 경남도 혁신도시추진단 강해룡 단장은 “LH 본사가 진주혁신도시로 일괄 이전하더라도 연금공단이 전북으로 간다면 전체적으로는 옮겨오는 직원이 적어 혁신도시 조성 자체가 힘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민연금공단이 전주로 이전할 경우 진주혁신도시 이전 대상 인원은 당초 4636명에서 3652명으로 24% 줄어든다. 특히 공단은 지난해 6월 3만1000㎡ 규모의 부지를 매입한 상태여서 전주 이전이 확정될 경우 경남도는 해당 부지 활용 방안을 다시 마련해야 한다.

성남시는 LH 이전으로 인해 가뜩이나 침체된 지역 상권이 더욱 위축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성남지역 공기업 및 공공기관 중에서 지방 이전 대상은 LH를 비롯해 한국도로공사 한국가스공사 KPS 한국식품연구원 등 모두 5곳이다. 이들은 지난해 366억원의 지방세를 납부하는 등 경기도와 성남시 재정에서 효자 역할을 톡톡히 했다.

전주·진주=김용권 이영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