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단은 복음에 어긋났기 때문 ‘그들은 어떻게 이단이 되었는가’
입력 2011-05-12 17:44
이단논쟁을 바라보는 외부 시선은 두 가지. 권력투쟁의 승패가 정통과 이단을 나눈다는 힘의 논리가 하나. 이단은 교회를 파괴하려는 적의 음모라는 배척이 나머지. 저자는 둘 다 비판한다. 기독교 이단사상 대부분은 교회가 권력을 잡기 전인 1∼2세기 이미 기독교 공동체로부터 위험한 사상으로 공격당했다. 힘이 약해 이단이 된 게 아니라 복음에 어긋났기 때문에 이단이 된 것. 이단을 탐구 여정의 부산물로 바라본다는 점도 특이하다. 이단은 비판하되 뿌리는 제대로 이해하자는 취지. 1∼4세기 싹이 트고 자라난 이단의 기원과 본질을 분석했다. 영국 런던 킹스칼리지 신학종교문화센터 학장. 홍병룡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