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절상 공감-속도·폭 이견… 美·中 전략경제대화

입력 2011-05-11 18:41

미국과 중국은 지난 9∼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가진 3차 전략경제대화에서 위안화 환율, 중국 인권 문제 등에 있어 이견을 보였지만, 경제 부문에서는 전반적으로 서로 이해의 폭을 넓혔다. 한반도 문제에선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양국 정부는 공동 발표문을 통해 “한반도 문제에 대해 양측은 ‘2011 미·중 공동성명’에 표현된 서로의 이해를 반복했다”고 밝혔다. 양국 정부가 전략경제대화에서 이런 입장을 재확인한 건 한반도 평화를 위해 남북대화가 우선 필요하고, 한반도 비핵화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분석된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1월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가진 뒤 공동성명을 발표했었다. 내용엔 한반도 평화·안정 유지 및 남북관계가 중요하며, 진정성 있고 건설적인 남북대화가 필수적임을 명확히 했다.

양국은 중국 위안화 절상 필요성에는 일정 부분 공감했다. 하지만 절상 속도와 폭을 놓고 여전히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티머시 가이트너 미 재무장관은 회의 뒤 “중국이 더 빠른 속도로 여러 무역상대국의 통화에 대해 폭넓게 절상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에 주광야오 재정부 부부장은 “양국은 위안화 환율 개혁 방향에 동의했으나, 의견차도 있었다”고 밝혔다.

중국 인권 문제와 관련해서도 입장이 갈렸다. 회의 첫날 미국 측으로부터 선공을 당했던 중국은 장즈쥔 외교부 상무부부장을 통해 “중국 인권상황을 말할 수 있는 사람은 13억명의 중국 국민”이라면서 “미국을 포함해 어떤 나라도 인권문제에 대해 완벽하지 않다”고 불편한 심기를 내비쳤다.

폐막 공동기자회견에서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대화 내용에 만족하며 앞으로 더 많은 진전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이빙궈 중국 국무위원은 “모든 사안에 동의하지는 못했지만 상호 이해와 신뢰를 증진했다”고 평가했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m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