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비리] 7개 저축銀 매각 지연될 듯… 부산저축銀 투자자 반발로 자산실사 중단
입력 2011-05-11 21:46
12일 입찰 공고가 예정됐던 저축은행 7곳에 대한 매각 절차가 일부 투자자들의 반발로 지연될 상황에 처했다.
예금보험공사 관계자는 11일 “부산저축은행 비상대책위원회가 초량본점을 점거, 농성을 벌이고 있어 지난 9일 매각을 위한 자산 실사를 중단했다”고 말했다. 자산실사를 위해 함께 파견된 회계사들도 일단 철수한 상태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지난 2일 예보를 통해 관리인을 파견, 부산저축은행에 대한 자산 실사에 착수했었다.
부산저축은행 예금자 200여명으로 구성된 비대위는 9일부터 초량본점 3∼4층을 점거한 채 농성을 벌이며 피해보상 없는 강제 매각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예금자 입장에서는 정상화 이후 예금 등 금융거래가 가능해지는 만큼 매각 방안이 나쁠 게 없지만 투자 보호 대상이 아닌 후순위채 투자자들이 매각 반대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12일 매각 입찰이 공고될 예정이던 부산·대전·부산2·중앙부산·전주·보해·도민 등 7곳 저축은행의 매각 일정이 늦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예보 관계자는 “부산저축은행만 빼고 나머지 저축은행에 대해서만 매각을 공고할 수는 없다”며 “현재 매각 공고 시기 등에 대해 내부에서 다시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예보는 저축은행 7곳의 입찰을 공고한 뒤 이들이 증자명령 이행시한인 다음 달 중순까지 정상화에 실패하면 바로 본입찰을 실시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었다. 입찰 공고가 연기되면 전반적인 매각 일정이 지연되면서 저축은행 정상화에 차질이 생기게 된다. 예금자들의 금융거래 불편도 계속될 수밖에 없다.
금융권 관계자는 “7곳 저축은행 매각 지연은 저축은행업계 전반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빠른 시기에 정상화해야 예금 등의 회수가 가능하고 금융거래도 정상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비대위 측은 오는 16일까지 농성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이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