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 6자회담 3단계 접근안 공감대

입력 2011-05-11 17:56

북핵 6자회담 일본 측 수석대표인 스기야마 신스케(杉山晋輔)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11일 “6자회담 재개를 위한 3단계 접근안에 대해 한·일 양국이 합의했다”고 밝혔다.

스기야마 국장은 오전 서울 도렴동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위성락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회동한 뒤 약식 기자회견을 열어 북핵문제 해법에 대한 양국 공조를 재확인했다.

스기야마 국장은 “비핵화 사전조치 5개항이 충족되지 않으면 6자회담이 재개될 수 없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북핵문제와 함께 납치문제 등에 성과가 있어야만 6자회담으로 갈 수 있다”며 6자회담 재개와 일본인 납치문제를 연계시켰다.

스기야마 국장은 우리 측과 오는 21∼22일 일본에서 열리는 제4차 한·중·일 정상회의 준비상황도 점검했다. 이와 관련, 개최 장소를 둘러싸고 3국 간 이견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현지 언론은 정상회의 개회식을 원자력발전소 사고가 터진 후쿠시마(福島)에서 여는 방안을 한국과 중국에 타진했다고 보도했다. 주최 측인 일본이 당초 개최지로 예정했던 수도 도쿄(東京) 대신 대형 원전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에서 개회식을 열고 본회담은 도쿄에서 열자고 제안한 것이다. 이에 중국은 원자바오(溫家寶) 총리에게 위험을 감수토록 할 수 없다며 난색을 표한 것으로 현지 언론은 보도했다.

중국과 일본이 이처럼 신경전을 펴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는 이명박 대통령이 중·일 정상과 함께 미야기(宮城)현 센다이(仙臺)시를 방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센다이시는 대지진 참사 피해를 입은 주요 지역 중 하나로 우리 총영사관이 주재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2008년 5월 대지진 참사를 겪었던 중국 쓰촨(四川)성을 전격 방문해 중국은 물론 주변국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은 바 있다. 우리 정부의 이 같은 구상에 따라 3국은 센다이에서 정상회의 개회를 선언한 뒤 도쿄로 이동해 본회의를 하는 쪽으로 의견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