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파-친이계 '총성없는 전쟁'…오늘 의총서 격돌

입력 2011-05-11 01:33

한나라당이 흔들리고 있다. 당 쇄신 방향과 주도권 장악을 둘러싸고 소장파 의원 모임인 ‘새로운 한나라’와 친이재오계를 중심으로 한 친이주류 간 ‘총성 없는 전쟁’이 한창이다. 소장파들은 친박근혜계뿐만 아니라 친이상득계와 손잡고 감세 등 이명박 정부의 핵심 정책에까지 반기를 들고 있다. 재보선 패배, 비주류 원내대표 당선에서 발화된 쇄신풍이 당을 어디로 끌고 갈지 아무도 장담할 수 없는 분위기다.

양측은 당장 11일 열리는 의원총회에서 대격돌을 예고했다. 안상수 전 대표가 구성한 비상대책위원회를 황우여 원내대표와 소장파가 반대하고, 이에 친이계 의원들이 다시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황 원내대표는 10일 본보와의 통화에서 “비대위 문제는 정치 이슈가 아니라 당헌·당규 해석 문제”라며 “사무처에 당헌에 대한 유권해석을 부탁했고, 의총 결과를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소장파는 9일 별도 모임을 갖고 이 문제를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비대위 구성 문제로 소장파의 쇄신 요구가 마치 주도권 다툼으로 비치고 있으니 대의를 위해 이번엔 양보하자는 목소리와 처음부터 제대로 바로잡자는 강경론이 팽팽히 맞섰다는 후문이다.

반면 친이계 정의화 비대위원장을 비롯해 권택기 의원 등은 “최고위에서 결정한 대로 비대위 체제를 수용하는 것이 맞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원희목 의원은 “소장파 몇 명이 원하면 무엇이든 다 뜯어고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아니냐”며 “점령군들이 힘의 논리로 권력화돼 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양측의 정책 갈등도 깊어지고 있다. 황 원내대표는 라디오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서민의 현실과 동떨어진 부자정당, 웰빙정당이라는 오명을 깨끗이 씻어버리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10대 등록금, 20대 일자리, 30대 보육 문제, 40대 내집 마련, 50대 노후보장 등 연령별로 겪는 사회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당이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황 원내대표와 소장파는 이를 위해 감세 철회와 전월세 상한제 부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비정규직 문제에 대해서도 적극적이다. 친박계 의원 일부도 공개 지지하고 나섰다. 이성헌 의원은 “(감세 철회 주장이) 맞다. 이 정부는 4대강 사업에 굉장히 중점을 두고 있었고, 대외적인 부분에서의 큰 행사만 많이 해 왔다”며 “감세 정책을 수정해 생긴 재원을 서민들을 위해 써야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친이계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 수도권 중진 의원은 “법인세는 그렇다 쳐도 내년부터 낮추기로 한 소득세까지 바꾸겠다고 하는 건 잘못”이라며 “(소장파가) 한나라당의 정체성과 정책 근간을 다 건드리는 것에 대한 불만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정옥임 의원도 “내년 총선에 대한 절실함에 공감하지만, 개혁과 쇄신을 하더라도 한나라당의 정체성을 지켜가면서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황 원내대표와 정 위원장 등이 참석하는 4선 이상 중진회의가 11일 오전 열릴 예정이다. 여기서 내홍 수습의 계기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