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보다 마음” 친자식처럼 키울 수 있는 자세가 중요

입력 2011-05-10 21:53


경기도 안성에 사는 이상일(48) 목사는 지난해 3월 생후 10개월 된 쌍둥이 자매를 입양했다. 이미 친자식이 둘이나 있는 상황. 지방교회 목사 수입으로 아이들 4명을 제대로 키울 수 있을까 걱정도 했지만, 이 목사는 입양을 결심했다. 그는 10일 “입양부모의 경제력보다 입양아동을 배 아파 낳은 피붙이로 받아들이는 마음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보통 사람은 입양부모의 첫 번째 조건으로 경제력을 꼽는다. 늘어만 가는 자녀 양육·교육비 부담을 고려하면 당연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7∼9월 일반국민 1000명에게 입양부모가 되기 위한 1순위 조건을 물었더니 ‘경제수준’이라고 대답한 비율이 40.6%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입양을 실천한 가정과 입양기관 실무자의 생각은 달랐다. 연구원이 조사한 입양부모 136명은 경제수준(8.8%)보다 성격(34.6%), 건강(26.5%), 가정환경(16.9%)이 더 중요하다고 대답했다. 입양기관 실무자 79명은 성격(40.5%), 가정환경(26.6%), 경제수준(11.4%) 순으로 대답했다.

경제적으로 넉넉하지 않은 가정도 입양을 많이 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09년 국내에 입양된 1314명 중 6%(82명)는 최저생계비 이하 및 차상위 계층 가정에, 37%(481명)는 전년도 도시 근로자 가구의 월평균 소득 이하로 버는 가정에 입양됐다.

홀트아동복지회 홍미경 홍보팀장은 “‘입양을 하려면 자기 집이 있어야 하나’라는 문의전화가 많이 온다”며 “입양가정의 경제력은 참고 사항이다. 해당 아동을 친가족처럼 잘 키울 수 있는 마음과 자세가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입양부모들은 정부 지원이 확대돼 입양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준다면 입양문화가 더 활성화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현재 정부는 입양기관에 내는 수수료를 270만원까지 지원한다. 입양아동에게 의료급여 혜택을 주고 월 10만원의 양육수당을 지급한다. 장애아동을 입양할 때는 월 55만1000∼62만7000원의 양육보조금과 연 260만원 한도 내에서 의료비를 지원한다.

그러나 의료급여 혜택과 장애아동 지원금의 경우 만 18세가 넘어가면 중단되는 등 정부 지원이 빈약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경은 복지부 아동복지정책과장은 “정부는 입양가정에 대한 지원 확대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양육수당을 현실화하는 등 조만간 대책이 발표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현 기자 k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