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지진·원전사고 2개월… 방사성 물질 아직도 육해공 유출

입력 2011-05-10 22:06

3월 11일 동일본을 덮친 대지진과 쓰나미로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에서 방사성 물질이 대량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한 지 두 달이 됐다. 도쿄전력은 지난달 17일 6∼9개월 안에 원자로 1∼4호기를 안정화시키겠다고 발표했지만 고농도 오염수 등 난제가 속출하면서 여전히 악전고투 중이다.

◇갈 길 먼 원자로 복구=도쿄전력은 원자로를 ‘냉온 정지’(원자로 내부 온도가 100도 미만으로 안정된 상태)로 만들기 위해 ‘수관(水棺)’ 냉각 방식을 택했다. 수관 냉각은 원자로의 압력용기를 둘러싼 격납용기에 물을 채워 냉각시키는 방식이다.

도쿄전력은 1호기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지난 5일부터 직원들을 원자로 건물 안으로 들여보내고 있다.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6월까지 수관 냉각에 필요한 기기 등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요미우리신문이 10일 전했다. 도쿄전력은 2·3호기에도 같은 방법을 적용할 계획이다. 사고 당시 정기검사 중이었던 4호기는 연료봉이 없기 때문에 다른 원자로보다 나은 상태다.

◇방사능 유출 여전=후쿠시마 원전의 냉각 기능 정상화가 늦어지면서 방사성 물질 유출이 계속되고 있다. 사고 직후에 비하면 상당히 줄었지만 아직도 원전 안에는 시간당 방사선량이 최고 700밀리시버트(mSv)에 이르는 곳이 있다고 산케이신문이 9일 전했다.

또 고농도 오염수 유출에 따른 바다와 토양 오염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바다 오염의 경우 2호기 취수구 부근의 균열을 막음으로써 농도가 낮아졌지만 토양 오염은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세슘이나 스트론튬 등 반감기가 긴 물질들이 축적되기 때문이다. 후쿠시마 현은 물론이고 인근 이바라키현 하수처리장 슬러지(하수 찌꺼기)에서도 고농도 세슘이 검출됐다고 교도통신이 10일 보도했다.

경계구역으로 지정된 후쿠시마 원전 반경 20㎞ 내 주민들이 이날 사고 이후 처음으로 일시 귀가했다. 방호복을 착용한 주민들은 가구당 2명까지 2시간 동안 집에서 중요한 물건 등을 챙겨 나왔다.

◇원전 불안 고조=일본에선 최근 원전 반대 시위가 빈번히 열리는 등 원전에 대한 불안이 높아지고 있다. 결국 하마오카(浜岡) 원전 운영사인 중부전력은 9일 원전 가동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이 같은 결정은 간 나오토(菅直人) 총리가 지난 6일 대지진 발생 확률이 높은 수도권에 있는 하마오카 원전의 운전을 모두 정지해 달라고 중부전력에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

일본 정부는 “원전 가동 정지는 지진 발생확률이 높은 하마오카 원전뿐”이라고 밝혔지만 다른 원전도 상황이 많이 다르지 않아 국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 처음으로 주민들이 원전 폐쇄 소송을 제기했던 시카(志賀) 원전에 대한 운영 중단 요구가 거세다고 마이니치신문이 10일 전했다.

한편 간 총리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전력 생산량 중 원전 비율을 30%에서 50%로 끌어올리기로 한 기존 에너지정책을 폐기하는 등 에너지정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발표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