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여년 전 격렬 반대속 강행하더니… 740억 들인 광주소각장 ‘제몸’ 소각한다

입력 2011-05-09 17:46


광주시가 거액의 혈세를 들여 2001년부터 가동해온 상무소각장을 2014년까지 폐쇄키로 해 예산과 행정력 낭비 논란이 일고 있다.

광주시는 그동안 땅에 묻거나 불에 태우는 방식으로 처리하던 생활쓰레기를 에너지 자원으로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시는 폐기물 정책의 전환에 따라 743억5900만원을 들여 상무지구 3만1900㎡부지에 연면적 1만5897㎡, 1일 400t 처리규모로 문을 연 상무소각장을 없애기로 했다.

시는 대표적 혐오시설로 꼽혀온 소각장 대신 유덕동과 양과동에 음식물 등을 에너지로 활용하기 위한 친환경 시설을 설치한다.

우선 유덕동 하수처리장 내에 내년 말까지 음식물쓰레기와 하수슬러지 등으로 하루 7만㎥의 메탄을 생산하는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을 만든다는 것이다. 민간자본을 유치해 건립될 이 곳의 바이오가스는 광주지역 26개 공공기관 냉·난방에 사용되고 일부는 전력으로 전환되거나 청소차량의 원료로 제공돼 최소한 연간 80억원의 예산을 절약하게 된다.

또 양과동 광역위생매립장에는 생활쓰레기 1일 전체 발생량 900t 중 750t을 고체연료화하는 RDF(Refuse Derived Fuel·폐기물로 만드는 고체연료) 생산시설을 2013년말까지 건립할 방침이다.

시는 이 시설이 본격 가동되면 지금까지 매립처리해온 생활폐기물 대부분을 연료자원으로 활용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함께 하루 40여t 발생되는 폐목재(폐가구류)도 ‘우드칩’ 가공을 거쳐 유가인상으로 어려움을 겪는 화훼농가 등의 난방연료로 재활용할 계획이다.

그러나 갖가지 우여곡절을 거쳐 건립·가동중인 소각장을 10여년만에 철거하려는 계획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당초 1996년 6월 착공된 상무소각장은 격렬한 반대 집회 등에 밀려 5년만인 2001년 12월에야 가동을 시작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엄청난 예산과 행정력을 쏟아부은 환경시설을 갑자기 폐쇄하는 것은 심각한 행정이기주의”라며 “학계 등 전문가들의 검증을 거쳐 합리적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