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쇼핑 피해 작년 20% 증가

입력 2011-05-09 01:28

서울지역 전자상거래 소비자 피해가 지난해 20%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시전자상거래센터(ecc.seoul.go.kr)에 접수된 전자상거래 관련 소비자피해상담 6만7895건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전자상거래 소비자피해 규모는 2007년 37억원을 넘었다가 2008년 26억원, 2009년 24억원으로 감소했으나 지난해 29억원으로 전년대비 20.4% 급증했다.

피해를 호소하는 상담건수는 1만8914건으로 1년새 32.7% 늘었다. 전자상거래에서 소비자들이 입은 피해 유형은 반품·환급 거절이 33.2%로 가장 많았고, 사이트 폐쇄(19.0%), 배송지연(13.7%), 제품불량(7.2%) 등의 순이었다.

품목별로는 의류가 2만94건(29.6%)으로 가장 많았다. 신발과 가방 등 잡화 1만9915건(29.3%), 콘텐츠 4428건(6.5%), 가전 및 영상제품·휴대전화·카메라 4244건(6.3%), 컴퓨터와 주변기기·소프트웨어 2395건(3.5%), 가구·생활용품·유아용품 2175건(3.2%) 순이다.

연령에 따라 피해 품목의 차이가 뚜렷했다. 10대와 20대는 신발과 가방 등 잡화에 대한 불만이 42.6%와 33.9%로 많았다. 30대는 의류(25.2%), 50대와 60대 이상은 가전제품과 콘텐츠 관련한 피해를 주로 호소했다.

피해 금액은 10만원 이상이 37.8%로 가장 많았고, 5만원 미만이 36.6%, 5만원∼10만원 미만이 25.7%다. 구매 장소는 일반 쇼핑몰이 4만5990건(67.7%)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오픈마켓이 7462건(11.0%), 개인간 거래는 3401건(5.0%)이다.

시전자상거래센터가 소비자피해를 접수받아 5년간 환급 및 배상해준 건수는 1만8824건이며, 금액으로는 22억원에 달했다.

시는 전자상거래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시 소재 인터넷 쇼핑몰에 대해 사업자 정보와 해당쇼핑몰의 청약철회, 구매안전서비스, 신용카드 사용여부 등 안전성을 판단할 수 있는 25가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 피해가 빈번한 업체의 명단은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인터넷 쇼핑몰을 별(★)표로 등급화해 놓고 있다”면서 “전자상거래 피해가 점차 증가 추세에 있는 만큼 번거롭더라도 이용전에 해당 사이트의 안전성을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황일송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