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한나라” 출발부터 잡음… 한나라 소장파 의원들, 비대위 구성놓고 반발

입력 2011-05-08 20:24

한나라당이 4·27 재보선 패배로 사퇴한 지도부를 대신할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으로 4선의 정의화 국회부의장을 7일 선임했다. 비대위는 전당대회를 통해 새 지도부가 선출될 때까지 당을 이끌게 된다. 비대위는 정 위원장을 포함해 친이명박계, 친박근혜계, 중립그룹 등 13명으로 구성됐다. 그러나 소장파 등이 비대위 구성의 절차적·인적 문제를 제기하며 반발하고 나서 당내 내홍이 지속되고 있다.

비대위 구성은 8일 퇴임한 안상수 대표가 주도했다. 그는 전날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미리 준비해 온 안을 제안, 의결했다. 비대위원에는 정 위원장과 김성조 김학송 원유철 의원(이상 3선), 박순자 차명진 의원(이상 재선), 김선동 김성식 신영수 윤진식 의원(이상 초선), 원외 정용화 당협위원장이 포함됐다. 황우여 원내대표와 이주영 정책위의장은 당연직 위원으로 참여한다. 9일 공식 출범하는 비대위는 당헌·당규에 따라 최대 60일간 활동할 수 있다.

그러나 위원 선정 과정부터 논란이 불거진 것으로 알려졌다. 안 대표가 처음 가져온 안에 있던 일부 친이계 인사들에 대해 최고위원들이 강하게 반발했다. 결국 이군현 나성린 이두아 의원이 빠지고 대신 충청권의 윤진식, 쇄신파 김성식 의원과 정용화 당협위원장이 들어갔다. 정두언 최고위원은 “비대위 구성은 새로 당선된 원내대표에게 맡겼어야 했다”며 “안 대표가 마지막까지 ‘봉숭아학당’을 만들어 놓고 간것”이라고 발끈했다.

당 쇄신을 위한 ‘새로운 한나라’ 소속 남경필 구상찬 정태근 의원 등 7명도 이날 비대위 재구성을 위한 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했다. 회동에서는 당 대표 궐위 시 원내대표가 그 직무를 수행토록 한 당헌·당규 30조를 거론하며 ‘비대위 구성을 퇴임하는 안 대표가 주도한 것은 문제’라는 의견이 터져나왔다. 남 의원은 “황 원내대표가 의총을 소집하고, 거기에서 비대위 구성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며 “물러나는 지도부가 일방적으로 결정한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비대위 업무가 ‘최고위원회의 통상 업무 및 전당대회 준비 관련’으로 정해진 것도 말썽이 되고 있다. 한 초선 의원은 “다양한 당내 쇄신 요구를 반영해 활동해야 하는데, 시작부터 업무를 한정지어 놓는 것은 비대위의 손발을 묶는 행위”라고 말했다. ‘새로운 한나라’ 간사인 구 의원도 “비대위 구성원이 친이계 주류 위주로, 이전 지도부와 똑같다”며 “새 한나라가 아니라 도로 한나라”라고 비난했다.

노용택 유성열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