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지주+우리금융’으로 민영화 효과 낸다?

입력 2011-05-06 18:24

산은금융지주가 우리금융 인수 참여에 돌입했으나 두 지주회사가 합병할 경우 시너지는 물론 실질적인 민영화 효과도 적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부 소유의 ‘메가뱅크(초대형은행)’ 탄생에 대해서도 관치 논란은 사그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우리금융 지분매각을 위해 금융지주사의 소유 지분 요건 및 지배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는 우리금융 매각에 많은 인수자가 참여토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 해석된다. 이렇게 규제가 풀리면 인수전에는 산은금융뿐 아니라 KB금융도 참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사실 지난해 말까지도 금융권에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던 ‘메가뱅크론’은 사라지는 분위기였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형은행의 규제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었고 우리금융 민영화도 물 건너가는 듯했다. 하지만 지난 1월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취임한 데 이어 3월 메가뱅크론의 주창자였던 강만수 산은금융지주 회장이 은행권에 자리를 잡으면서 상황은 반전됐다. 하지만 금융권 안팎에서는 벌써부터 이를 두고 정부 소유의 대형 국책은행이 생기는 게 아니냐며 은행의 ‘국유화’에 대한 비판이 일고 있다. 또 정권 말기에 금융계의 판도를 바꾸는 대형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졸속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만약 경쟁입찰이 아닌 일방적인 인수로 몰아갈 경우 제값을 받고 매각할 수 없어 공적자금 회수 측면에서도 논란이 예상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5월 초 정부가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발표하려 했지만 논란이 많을 것 같아 연기한 것으로 안다”고 했다.

한편 두 금융회사의 계열 증권사인 대우증권과 우리투자증권의 합병설도 힘을 받고 있다. 지난해 우리증권의 분리매각 당위론이 약해지면서 합병설도 수그러들었지만 산은금융이 우리금융을 인수하게 되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이미 금융위에서는 ‘대형 투자은행(IB) 육성’을 추진 중이었는데 산은금융과 우리금융이 합쳐진다면 계열 증권사들의 합병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본다”고 예상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