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 1호기 재가동 승인… 교과부, 원전 21기도 안전하다 결론
입력 2011-05-06 21:54
정부가 국내 원전 21기에 대해 일제 안전 점검을 벌인 결과 ‘지진과 쓰나미(지진해일)에 안전하다’는 결론을 6일 내렸다. 또 지난달 12일 전기차단기 고장으로 멈춰선 국내 최고령 원전인 고리 1호기(1978년 가동)를 정밀 점검한 결과 계속 운전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 사고 24일 만에 재가동을 공식 승인했다. 원전 운영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은 이날 고리 1호기에 대한 재가동 공정에 들어가 이르면 8일부터 전력 생산 및 외부 송전을 시작해 9일쯤 100% 정상화할 예정이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세종로 정부청사에서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 직후 브리핑을 갖고 “3월 21일부터 점검단 73명이 자연재해로 발생할 수 있는 최악의 원전사고 시나리오를 가정해 지진, 해일, 전력·냉각계통, 중대사고 등 6개 분야 27개 항목을 점검했다”며 “원전이 안전하게 설계되고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했지만 일본 원전 사고를 계기로 향후 5년간 1조원을 투자해 50개 장·단기 안전개선 대책을 세웠다”고 밝혔다.
정부는 먼저 해일에 대한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고리 1, 2호기(부지 높이 5.8m)의 해안 방벽을 1.7m에서 4.2m로 증축하기로 했다. 내년 상반기까지 다른 원전 부지 수준(10m)까지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 쓰나미로 원전 터가 완전히 침수되는 상황에서도 비상디젤발전기가 물에 잠기지 않도록 비상디젤발전기 보관 장소에 방수문과 방수형 배수펌프를 2014년까지 모든 원전에 설치하기로 했다.
만약 방수 시설에도 불구하고 비상디젤발전기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 차량 장착 이동형 비상발전기를 고리 영광 울진 등 원전부지 별로 1대씩 두기로 했다. 아울러 최악의 사고로 모든 비상전원이 끊긴 상태에서 냉각계통이 고장나고 원자로 내 핵연료가 녹아내려 대규모 수소가 발생하더라도 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피동형 수소제거설비(PAR)’를 2013년까지 모든 원전에 설치할 계획이다. PAR은 전기가 없어도 수소폭발을 막아준다. 정부는 또 모든 원전에 일정 규모 이상(지반가속도 0.18g)의 지진이 발생하면 원자로를 자동으로 세우는 설비도 설치키로 했다. 이와 함께 71개 전국 환경방사능측정소를 120개까지 확대하고, 방사선 피폭 환자 치료제인 요오드화칼륨도 기존 12만명분에서 50만명분으로 늘리기로 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