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소독약 부메랑] 끝나지 않은 구제역, 소독은 계속되는데… 바이러스 상존 안심 못해
입력 2011-05-05 18:28
지난해 11월 29일 처음 시작된 구제역은 그동안 348만 마리에 육박하는 가축을 땅에 묻는 직접적 피해뿐 아니라 매몰지 관리, 지하수 오염 등 많은 문제점을 낳았다.
사상 최악의 구제역이 전국 11개 시·도 75개 시·군을 휩쓸고 지나간 결과였다. 백신 접종을 하기 전에는 구제역에 걸리지 않은 농장과 가축도 위험성 여부에 따라 매몰 대상에 포함됐기 때문에, 가축 매몰 처리 지역은 전국 12개 시·도, 81개 시·군으로 더 넓어진다.
이처럼 광범위한 가축 전염병 사태를 처음 겪은 방역 당국의 처신은 곳곳에서 허점이 발생했다. 무차별적인 소독제 사용도 마찬가지였다. 소독제는 전염병이 걸린 농장의 축사는 물론 축사를 오가는 사람과 차량의 소독, 전국 곳곳의 이동제한 초소 등 거의 모든 곳에서 사용된 방역 필수품이었다.
5일 한국동물약품협회에 따르면 구제역으로 가장 많은 가축이 살처분됐던 지난 1, 2월의 소독제 국내 판매량은 각각 241억464만원, 138억7142만원으로 2009년보다 각각 226.1%, 305.4%나 증가했다.
정부가 지난 4월 구제역이 사실상 종식됐다며 위기단계를 ‘주의’까지 낮췄지만, 상황은 아직 진행 중이다. 이후 경북 영천 지역에서만 3건의 구제역이 연달아 발생했다.
백신 접종으로 바이러스가 억눌려 있을 뿐 이미 전국적으로 바이러스가 상존해 있어 향후 2∼3년간은 산발적으로 구제역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구제역뿐 아니라 조류인플루엔자(AI)도 철새 도래지 등 주변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때문에 정부는 여전히 전국적으로 정기 소독을 진행하는 등 소독을 기본으로 하는 방역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과거보다 소독제 사용 지침 등의 중요성이 더 요구되는 셈이지만 이 부분에 대한 검토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정부는 지난달 축산업허가제 등을 골자로 하는 ‘축산업 선진화방안’을 발표했지만 여기에도 소독제 사용 지침 등과 관련된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