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소장파 쇄신론, 이번엔 끝을 볼까

입력 2011-05-04 22:02

4·27 재·보궐선거 패배 이후 한나라당 소장개혁파를 중심으로 형성된 당 쇄신 움직임이 결실을 맺을 수 있을지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당 쇄신은 현재 정두언 나경원 최고위원 등 수도권 재선 그룹과 남경필(4선), 김정권(영남권 재선) 의원, 초선의원 모임인 민본21이 주도하고 있다. 이들은 ‘쇄신 연대’(가칭)를 구성키로 의견을 모았다.

이런 움직임은 19대 총선이 채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한나라당이 환골탈태하지 않으면 공멸할 수밖에 없다는 절박한 현실인식에서 비롯된다. 민본21 간사인 김세연 의원은 4일 “과거처럼 또다시 당 쇄신 요구가 무위에 그치면 내년 총선에서 국민의 심판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당내에선 소장파들의 쇄신 요구도 과거처럼 ‘찻잔 속 태풍’으로 끝날 것이라는 냉소적인 시각이 여전히 많다. 한 수도권 중진 의원은 “많은 의원들이 계파 간 틀을 깨지 못한 채 눈치만 보고 있다”며 “쇄신 움직임이 당 전체로 확산돼 성과를 가져올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남 의원은 “총선이 눈앞에 다가왔고 누구도 생존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인 만큼 이번만은 과거와 다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단 6일 열릴 원내대표 선거가 쇄신 움직임 확산 여부를 결정할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여러 출마자 중 쇄신연대가 지지 입장을 밝힌 황우여 의원이 친이명박계 주류의 지지를 받고 있는 안경률, 이병석 의원을 꺾을 경우 쇄신 움직임은 한층 탄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전처럼 친이계 후보가 원내대표에 당선되면, 당 쇄신 여론은 급속히 힘을 잃을 것이란 전망이 많다.

한편 한나라당은 내년 총선·대선을 앞두고 상향식 공천제도를 도입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정옥임 원내대변인은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총 후 기자들과 만나 “상향식 공천에 대한 공감대를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상향식 공천을 당론으로 채택하지는 못했다. 공천 방식으로 완전 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를 당론화할 것인지를 놓고 결론을 내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