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대전서 ‘세계 핵테러 방지구상 총회’… 빈 라덴 사살이후 새삼 주목
입력 2011-05-04 22:04
오사마 빈 라덴 사살을 계기로 다음 달 대전에서 열리는 ‘세계 핵테러 방지구상 총회’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알카에다 등 이슬람 급진세력이 서방국가에 보복하려고 핵물질을 테러에 이용하거나 핵시설을 공격할 우려가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영국 경찰은 지난 2일 원자력발전소를 촬영하던 청년 5명을 테러 관련 혐의로 체포하는 등 국제사회의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6월 29일∼7월 1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세계 핵테러 방지구상 총회는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자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회의에서는 핵물질 관리 및 보호, 불법 핵물질의 탐색과 압수, 테러리스트에 대한 피난처 제공 및 재정지원 금지, 핵테러 처벌 등 전반적인 문제를 다룰 예정이다. 특히 알카에다의 핵테러 위협에 대비한 국제사회의 공조방안도 거론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정부 관계자는 4일 “각국은 그동안 실시한 핵테러 방지 조치를 발표하고 앞으로 협력강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며 “알카에다 등 테러조직의 위협에 대한 대책도 자연스럽게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참가국들은 선언문 등의 문서를 채택하지는 않지만 기자회견을 통해 논의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핵테러 가능성에 단호히 대응하고 국제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메시지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세계 핵테러 방지구상 총회는 2006년 미국과 러시아 정상 간 합의로 결성한 국제협의체로, 현재 82개국이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올해 회의에는 차관보급 인사를 수석대표로 하는 50여개국 정부 대표단과 국제기구, 연구기관 관계자 등 600여명이 참석한다.
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