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농협 사이버 테러] “대응 수준 주변국 비해 미흡”… 軍·경찰 기구 대폭 확대

입력 2011-05-03 22:37

사이버 공격에 대한 예방과 대응은 국가정보원 국가사이버안전센터가 총괄 지휘한다. 2004년 2월 출범한 국가사이버안전센터는 민·관·군을 아우르는 범국가적 차원의 사이버 안전을 책임지고 있다. 이 센터는 사이버 위협에 대한 각종 정보를 수집·분석해 관련기관에 전파하고 있으며, 24시간 상황실을 운영해 사이버 위협 징후를 탐지한다.

날로 지능화되는 사이버테러에 맞서기 위해 국방부와 경찰청도 대비책을 강화하고 있다. 국방부는 지난해 1월 사이버사령부를 출범시킨 데 이어 올해 정보본부 산하에 소속됐던 사령부를 국방부 직할부대로 승격시키고 인력도 확대키로 했다. 준장급을 사령관으로 하는 사이버사령부는 사이버지휘센터를 중심으로 각 부대와 기관에 산재해 있는 관련 기능과 역할을 총괄 지휘한다.

사이버사령부는 평시 국방부 내부망인 인트라넷과 일부 군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에 대한 해킹 방지 역할을 수행하고, 전시에는 사이버전을 맡는다. 국방부는 전문인력 개발을 위한 사이버전문인력개발센터를 운용하고, 마에스트로(사이버전사)도 양성할 예정이다. 각 군에서는 ‘침해사고대응팀’(CERT)을 운용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3일 “군은 위협관리와 통합보안관계시스템, 자료유출방지체계, 바이러스 방역체계 등 다중 관제시스템을 운용하며 사이버 공격에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청도 지난해 초 보안국 산하 보안사이버분석계를 보안사이버수사대로 확대 개편했다. 지난해 10월엔 정보통신 전문가 5명을 특별 채용해 보안사이버수사대에 배치했다. 이곳에선 인터넷상의 대남 심리전이나 친북 게시물을 적발하는 일을 많이 하지만, 북한 해커 동향 등 대북 첩보도 수집하고 사이버 공격 발생 시 국정원 등 유관기관과 공조 대응에 나선다. 2009년 7·7 디도스 공격 때는 공격 근원지가 북한 체신청이 중국으로부터 할당받은 인터넷주소(IP)로 밝혀져 중국 공안에 공조 수사를 요청했다.

그러나 사이버테러 전문가들은 “우리 군과 경찰의 대응 수준은 주변국에 비해 미흡한 상황”이라며 “북한의 사이버공격이 빈번해질 가능성이 큰 만큼, 전문인력 양성과 연구개발이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천지우 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