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만5세 의무교육안 세심하게 다듬어야
입력 2011-05-02 17:43
김황식 국무총리가 2일 내년 3월부터 만5세 어린이의 교육과 보육을 국가가 책임지는 ‘만5세 공통과정’을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현재 이원화돼 있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어린이집 표준교육과정을 일원화해 모든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초등교 1∼2학년 군과 연계할 수 있도록 인성·창의성 교육을 실시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만5세 이하 어린이를 둔 가정 중 소득 기준 하위 70%의 가정에 일정액을 지원하던 것을 내년부터 만5세 미만은 현행을 유지하되 만5세 어린이에 대해서는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전 가정에 매달 20만원을 지원하고 이를 점차 늘려 2016년에는 30만원까지 지원하기로 했다. 사실상 만5세 어린이 교육이 의무교육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 계획은 젊은 부부의 교육비 부담을 상당 부분 덜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저소득층과 맞벌이 부부에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지난 2월 한국교육개발원은 취학 전 유아의 99.8%가 사교육을 받고 있으며 응답 가정의 42.7%가 유아 교육비 부담으로 추가 출산을 포기하고 있다는 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다. 이런 상황에서 5세 어린이의 교육을 정부가 맡아주면 저출산 문제를 해소하는 데에도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어린이집 보육·교육의 질을 어떻게 유치원과 같은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정부는 어린이집이 유치원에 비해 교육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를 시정하기 위해 만5세 공통과정 담당 교사를 유치원 교사 및 보육교사 1·2급 자격자로 제한해 공평한 교육이 되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유아들의 교육 불평등이 보정된다면 우리 사회에 공교육을 신뢰하는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다.
지원금 액수만 늘어났을 뿐 교육 수준이 향상되지 않았거나 지역별로 두드러지게 차이가 날 경우 학부모들은 또 다른 유아 사교육으로 눈을 돌리게 될 것이다. 질 좋은 조기 교육을 통해 저소득층 자녀들이 배움의 문턱부터 뒤처지지 않고, 모두가 공교육을 신뢰할 수 있도록 정부가 구체적 내용을 세심하게 가다듬어 주기를 부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