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대노총 노동절 기념대회 수만명 참여… 민노총 가두행진 별 마찰 없이 끝나

입력 2011-05-01 22:12


121주년 노동절인 1일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이 서울에서 기념대회를 열었다. 수만명이 운집한 대규모 집회였지만 별다른 마찰 없이 치러졌다.

한국노총은 오후 1시 여의도공원 문화마당에서 ‘한국노총 전국노동자대회’를 개최했다. 한국노총은 전국 2500개 단위노조에서 13만여명(경찰추산 5만여명)의 근로자가 집회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이용득 한국노총 위원장은 “이명박 대통령은 반노동자 정책을 중단하고 친서민 노동자 정책으로 전환하라”고 주장했다.

민주노총은 오후 3시15분부터 태평로 서울광장에서 노조원과 시민 1만5000여명(경찰추산 8000여명)이 모인 가운데 ‘제121주년 세계노동절 민주노총 기념대회’를 가졌다. 민주노총은 대회에서 생활임금보장, 최저임금 현실화, 노동조합법 전면 재개정을 위한 투쟁을 결의하고 물가안정대책 수립을 촉구했다. 정치권에서는 민주당 손학규 대표와 민주노동당 이정희 대표, 권영길 의원 등이 참여했다.

경찰은 여의도와 태평로에 106개 중대 8000여명을 배치했지만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민주노총은 오후 5시로 예정했던 행진 강행 여부를 놓고 경찰과 신경전을 벌였다. 민주노총은 지난달 말 경찰이 노동절 집회를 전면 금지하자 서울행정법원에 행정처분 효력정지를 신청해 집회는 허가받았으나 행진은 불허됐다. 민주노총은 오후 5시15분부터 행진을 시작해 서울 소공동 롯데백화점 본점 앞까지 진행한 뒤 청계천 방향 4개 차로를 점거한 채 한 시간가량 집회를 열고 6시30분쯤 자진 해산했다. 경찰이 확성기를 동원해 집회 해산을 촉구했지만 충돌은 없었다. 경찰 관계자는 “사진촬영을 통해 행진 참가자를 사후 처벌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노동절 집회를 기폭제로 양대 노총은 임금·단체협상과 노조법 재개정 등 사안을 정면 돌파할 방침이다. 민주노총은 최저임금 현실화와 노조법 전면 재개정을 위해 6월 총력 투쟁을 벌이기로 결의했다. 6월 11일과 29일 다른 진보 단체들과 1·2차 범국민대회를 개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7∼8월에는 정기 대의원대회를 거쳐 ‘진보 대통합 및 제2의 노동자 정치세력화’ 전략을 결정할 계획이다.

한국노총은 임단협에서 노조법에 규정된 교섭창구 단일화와 노조 전임자 임금 지급 금지를 무력화시키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늦어도 정기국회 때까지 민주노총, 야4당과 함께 노조법 재개정안을 발의해 공론화할 계획이다. 반면 고용노동부는 노조법 개정 요구에 대해 ‘절대불가’ 입장을 고수하며 엄정 대응 방침을 굽히지 않고 있다.

최승욱 정부경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