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관계자 “LH 본사, 진주 일괄이전으로 기울어”… 전북 “분산배치 약속 지켜라” 반발
입력 2011-05-01 18:26
한국토지주택공사(LH) 본사가 경남 진주로 일괄 이전한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진주·전주 분산 이전을 요구해 온 전북의 반발이 예고되고 있다. 1일 여권 고위관계자에 따르면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의 LH 본사 이전 입지 선정 결과를 당초 예정보다 앞당겨 이달 중 발표할 방침이다.
이 관계자는 “LH 본사를 진주로 일괄 이전하는 쪽으로 기울어졌다”며 “이달 중으로 LH 본사 이전 입지가 발표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분리 이전 방안도 검토했으나 업무 비효율 때문에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났다”며 “토지공사와 주택공사를 합병하면서 통합했던 부서를 이제 와서 분리하기도 어렵고, 사장이 영호남을 왕래하면서 집무하는 것도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그는 “분리 이전을 희망해 온 전주에는 대신 새만금개발청을 외청으로 신설하거나 규모가 비슷한 공공기관을 배치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전북은 아직 정부의 공식발표가 아닌 만큼 신중히 지켜보자는 입장을 유지하면서도 사실이라면 ‘정부가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대가로 줬다고밖에 생각할 수 없다’며 결사반대의 의지를 보이고 있다.
전북도는 일괄 이전 소식에 ‘약속대로 LH 본사를 전주와 진주로 분할 이전해야 한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사장과 경영 부문 인력의 26%는 전주로, 영업부 등 나머지 인력 74%는 진주로 보내야 한다는 것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현 정부가 토지공사와 주택공사를 LH로 통합하기 전부터 토공은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하기로 돼 있었다”며 “전북도민 모두가 정부의 분산 배치 원칙을 한순간도 불신한 적이 없었던 만큼 반드시 약속을 지킬 것으로 믿는다”고 강조했다. 전북도는 정부가 오는 6월까지 LH 지방 이전 문제를 결정키로 함에 따라 ‘LH 본사 유치 추진비상대책위원회’를 중심으로 정치권, 도의회, 시민단체와 함께 분야별로 협력해 분산 배치를 관철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한편 경남도는 공식 통보를 받지 않았다고 하면서도 유리한 소식에 표정관리를 하는 모습이다. 경남도는 LH 본사 전체를 진주로 일괄 이전해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 통합 전 주공의 회사 규모가 토공보다 1.5배 정도 큰 만큼 두 회사를 합병하면 원래 더 컸던 회사로 옮겨야 한다는 논리에서다. 경남도 관계자는 “어렵게 통합한 회사를 다시 쪼개 이전하는 것은 업무 효율성 차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는 여론이 설득력을 얻은 결과로 보인다”며 “공기업 선진화 및 경영 효율화를 위해 LH 본사는 반드시 일괄 이전해야 하고,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서라도 보다 더 낙후된 경남 진주로 이전해야 하는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
한편 여권 발표에 대해 국토해양부는 결정된 사안이 전혀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진주 일괄 이전과 이달 중 입지선정 확정 발표, 전주 새만금개발청 외청 신설 등 확정은 아무것도 없다”고 해명했다.
창원·전주=이영재 김용권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