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단에 ‘신학적 대응’보다 ‘목회적 대응’ 나선다

입력 2011-05-01 18:12

‘사회 구원’과 ‘신앙의 양심’을 중시해 온 한국기독교장로회(기장)가 최근 이단 문제에 적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기장 총회 차원에서 처음으로 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이대위)를 구성, 세미나를 열고 활동방향을 논의하는 등 체계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11월 구성된 기장 이대위 특별위원은 5명이다. 위원장은 현대종교 편집인 겸 편집인을 지낸 이영호(경기도 평택 팽성장로교회) 목사가 맡았다. 위원으로는 이재천(기장 목회와신학연구소 소장), 이정우(목회와신학연구소 정책실장), 전병생(교회와사회위원회 위원장), 김주환(한신대 교목실장) 목사가 총대를 멨다. 지난 22일에는 이대위 첫 세미나를 열었다.

이 위원장은 1일 본보와의 전화통화에서 “총회에서 이단으로 판정나기까지 적어도 3년 정도 걸리기 때문에 오는 9월 총회에서 우선 이단주의 경계경보 발령 등의 권한을 위임받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기존 교단과는 달리 이단 문제에 대해 ‘신학적인 대응’보다 ‘목회적인 대응’에 주력할 것이라고 했다. 신학적인 대응은 학문적인 영역으로 복잡하고 오래 걸리기 때문에 목회 현장에서 순발력 있게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대위 설치가 일사천리로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지난해 교단 총회 실행위에선 비판론도 거셌다. ‘신앙의 양심’을 중시해 온 교단의 문화와 배치된다는 것. 하지만 설치를 헌의한 강원노회가 이미 신천지의 피해를 실제로 겪은 만큼 적극적인 대처를 위해 위원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받아들여졌다.

이 위원장은 “이단을 신학적으로 따지면 한도 끝도 없다”면서 “지금은 신천지 등 이단 패해 교회를 어떻게 제자리로 돌려놓을 것인지, 피해 재발을 어떻게 막을 것인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대위는 일반적으로 이단이라고 판별되는 50여개 단체에 대한 자체적인 연구를 해나기로 했다. 또 이단 가이드를 만들고, 이를 교역자 및 신자들에게 숙지시키는 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지혜를 모을 계획이다. 피해 사례를 접수하는 핫라인을 설치하는 등 홍보활동도 강화해나갈 방침이다.

이 위원장은 “이대위 활동은 응급실 없는 종합병원”이라면서 “총회 차원에서 상담소를 설치하는 일도 시급하다”고 했다.

윤중식 기자 yunjs@kmib.co.kr